|
한국수자원공사, 국무조정실, 환경부, 대구시, 구미시, 경북도 5개 기관이 체결한 상생 협정을 통해 대구시는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일 평균 30만t의 물을 추가 취수해 공급받고 있다.
대구시는 전체 식수의 70%를 낙동강 지표수에 의존하고 있다. 그런데 구미공단에서 일일 18만t의 폐수를 발생시키고 있어 대구시민의 식수가 오염으로부터 위협을 받는 상황이다. 18만t의 폐수는 낙동강 상류 폐수 배출량의 65%를 차지한다.
그간 구미 산단은 페놀 (91년 2회, 08년), 퍼클로레이트(06년), 1,4-다이옥신(04년, 09년), 불산(12년, 13년), 과불화 화합물 (18년) 등 총 9차례의 심각한 화학물질을 낙동강 상류에 배출했다. 대구시민의 식수원을 위협하는 사고들이다.
낙동강 취수를 걸러 식수로 쓰는 대구시 입장에선 오래전부터 취수원 상류 이전을 희망해왔다. 이에 정부와 영남권 시도지사들은 지난 2019년 구미·임하댐에 대해 물 관련 전문기관 연구·검토를 거치는 데 합의했고 구미시 해평면취수장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냈다.
이후 지난 4월 5개 기관은 구미시 해평취수장에서 일 평균 30만t의 물을 추가 취수해 대구·경북 지역에 공급한다는 협약을 체결했다. 대신 구미시는 낙동강 수계 기금에서 매년 100억원을 상생지원금으로 지원받는 합의를 얻어냈다.
그런데 대구시가 구미시장의 상생 협정 파기를 이유로 들며 더 이상 상수원과 관련해 구미지역에 매달리지 않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대구시는 협정서 ‘제6조’를 들며 “각 기관이 합당한 이유 없이 해당하는 협정의 내용과 이에 따른 세부사항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 기관 간 협의를 거쳐 협정을 해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더 이상 상수원을 구미지역에 매달려 애원하지 않고 안동시와 안동댐 물 사용에 관한 협력절차와 상생절차를 논의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같은 협약이 발효되면 상생지원금 집행이 취소돼 구미시는 매년 받아오던 100억원을 받지 못하는 손해를 입게 된다. 구미시의 2022년 예산은 1조 6944억원이다.
홍 시장은 “협약서가 발효되면 즉시 제공하기로 했던 현금 100억원은 오늘부로 집행 취소하고 연말 채무변제에 사용하기로 했다”고도 했다.
대구시는 작년 11월 폐수로 인한 수질오염의 우려가 있음에도 이를 허용하고 유치업종 추가(C20, 세세 항목 121, 산업용가스제조업) 사항에 대해 동의했다. 구미시와의 상생 협정을 존중하는 취지에서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는 “앞으로 구미5산단 유치업종 변경·확대에 따른 동의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히 접근하겠다는 점과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할 것을 구미시에 통보했다”고 엄포를 놨다.
대구시는 맑은 물 상생 협정 해지 수순에 이어 안동댐 물을 대구로 공급하는 ‘맑은 물 하이웨이’를 추진하는 절차에 들어갔다.
수질 오염 우려가 있는 낙동강 표류수 대신 1급수인 안동댐 물을 도수관을 통해 영천댐이나 운문댐으로 공급, 상수원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게 홍 시장의 설명이다.
홍 시장은 페이스북에서 “앞으로 대구시와 안동시는 물 동맹으로 출발하여 상생 협력하는 새로운 관계로 격상시켜 안동시 발전에 대구시가 적극 협력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구미 공단 폐수에 발목이 잡혀 지난 30년 이상 고통받았던 대구시민을 대표해서 안동시민과 시장님께 거듭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한다”며 “대구시가 구미시에 제공할 각종 인센티브를 안동시로 돌리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