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당시 영의정에 오른 문신이자 ‘징비록’의 저자로 잘 알려진 서애 류성룡(1542∼1607)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달력이 국내로 돌아왔다. 관련 유물이 많지 않은 데다 충무공 이순신(1545~1598)의 최후에 대한 내용도 담고 있어 중요한 유물로 평가된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류성룡이 생전 썼던 것으로 추정되는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柳成龍備忘記入大統曆-庚子)를 확인해 지난 9월 국내에 들여왔다고 24일 밝혔다.
‘대통력’은 오늘날의 달력에 해당하는 책력(월일과 절기 등을 적은 책)이다. 계절의 변화를 알 수 있어 농사를 짓는 데 유용하게 쓰였고 일상에서도 많이 활용했다. 이번 유물은 김문경 교토대학 명예교수의 제보를 통해 그 존재가 알려졌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정보 입수 이후 수차례 면밀한 조사를 거쳐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
이번에 환수한 유물은 경자년(1600년)의 대통력으로 표지를 포함해 총 16장 분량이다. 고려 공민왕 때인 1370년 국내에 들어와 약 280년 동안 쓰인 대통력은 국내에 남아있는 유물이 많지 않다. 경자년 대통력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종이를 사용해 임시로 책을 매어둔 표지에는 총 83자가 남아있다. 이 글에는 ‘여해’(汝諧)라는 이름과 함께 “전쟁하는 날에 직접 시석(矢石·화살과 돌)을 무릅쓰자, 부장들이 진두지휘하는 것을 만류하며 ‘대장께서 스스로 가벼이 하시면 안 됩니다’고 말했다”고 적혀있다. 여해는 이순신의 자(字), 즉 충무공을 부르는 또 다른 이름이다. 이어진 글은 ‘직접 출전해 전쟁을 독려하다가 이윽고 날아온 탄환을 맞고 전사했다’고 번역할 수 있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이 주변의 만류에도 전장에서 지휘하다 전사한 상황을 묘사한 기록이다.
대통력에는 정유재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강항(1567∼1618)이 포로 생활을 마치고 1600년 돌아온 일을 비롯해 당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내용도 있다. 쌀을 빚는 것부터 물을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등을 자세히 적은 ‘술 제조법’도 확인됐다.
류성룡의 종손 가에서 소장해 온 문헌과 각종 자료인 ‘유성룡 종가 문적’은 현재 보물로 지정돼 있다. 대통력은 향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한 뒤 연구·전시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이번 대통력은 임진왜란 당시 군사 전략가로도 활약한 류성룡이 남긴 기록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며 “그 안에 담긴 내용상으로도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고 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