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스턴대 측은 이에 대해 “전 교수가 최근 타 기관에서 박사과정을 밟게 되면서 그의 학생비자가 취소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외국인 교수진 146명 가운데 비자가 취소된 건 전 교수 뿐”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휴스턴대 학생들과 교수들은 의구심을 제기하며 혼란을 겪고 있다고 현지 언론은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대학 내 외국인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면서 90여개 대학의 600여명 이상의 유학생과 교수진, 연구원이 비자를 강제 취소당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미국 CNN방송이 보도했다. 지난달에는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석했다는 이유로 영주권을 박탈 당한 컬럼비아대 한인 학생이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법원이 ‘추방 시도 일시중단’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휴스턴대 소셜미디어(SNS) ‘레딧’에는 “왜 교수와 학생을 표적으로 삼는지 모르겠다” “이런 인재를 잃는 건 대학의 손실이다” 등 반발하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학 길들이기는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말 한 기자회견에서 “학생 비자는 권리가 아니다. 우리는 법에 따라 (비자) 발급을 거부할 수 있고, 취소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