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보형물 '희귀암' 치료법은 있나

강경훈 기자I 2019.08.20 18:32:51

물 고임·덩어리…증상 알기 쉬워
70%이상 초기 단계서 발견
보형물과 막 한꺼번에 제거하면 안전
5년 생존율 89%…초기단계만 보면 더 높아
앨러간 美서 "재수술 시 재료 지원" 등 대책 발표

희귀암인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ALCL)을 유발하는 것으로 의심받는 엘러간 유방 보형물.(사진=엘러간 제공)
[이데일리 강경훈 기자] 동양인에게는 굉장히 드문 것으로 알려졌던 ‘유방보형물 관련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BIA-ALCL)이 국내에서 처음 보고되면서 환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발견이 쉽고 치료효과가 좋은 만큼 제거수술 등 선제 대응은 필요 없다는 입장이지만 환자 불안은 여전하다. 일부에서는 “안전성 우려가 있으니 차라리 빼야 한다”며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BIA-ALCL 치료법과 예후 등을 알아본다.

BIA-ALCL은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ALCL)의 한 종류로 일종의 혈액암이다. 림프종은 림프구들이 모여 있는 림프절에 주로 생기지만 BIA-ALCL은 림프조직이 드문 유방에서 생긴다. ‘BIA’는 ‘유방 보형물과 관련된’이라는 뜻이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보형물과 주변 조직이 지속적으로 마찰하면서 생기는 염증반응이 유력한 원인으로 꼽힌다. 보형물을 넣으면 자연적인 면역반응으로 막이 만들어져 보형물을 감싼다. 상처를 보호하는 일종의 딱지다. 보형물의 거친 표면이 이 막을 지속적으로 자극하면 상처가 아물지 않고 염증이 지속되는데 이게 BIA-ALCL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공식 발표에 따르면 올해 7월 6일 현재 전 세계에서 573건의 BIA-ALCL이 발생했다. 전 세계적으로 1000만 명 이상이 보형물 삽입수술을 받은 것을 고려하면 많은 것은 아니다. 1년에 100만 명당 0.35~1명 수준으로 발병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FDA는 573건 중 글로벌 기업인 엘러간의 독자적인 표면처리 기법인 ‘바이오셀’(Biocell)이 적용된 보형물을 삽입한 경우가 481건이라고 밝혔다. 이 기법은 보형물 표면을 거칠게 만들어 몸에 잘 부착할 수 있게 한다.

조사 결과, 환자들은 보형물을 이식한 뒤 평균 8년이 지나서 BIA-ALCL이 생겼다. 정규화 대림성모병원 성형외과 과장은 “다른 회사들도 거친 표면 제품을 만들지만 유독 엘러간의 제품만 문제로 꼽힌다”며 “현미경으로 보면 엘러간 제품이 경쟁품보다 돌기가 뾰족하다”고 말했다.

환자들은 ‘발병률은 통계적인 의미일 뿐 나도 언젠가 걸릴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지만 전문가들과 보건당국은 과도하게 불안해하지 말고 증상 유무를 잘 살피라고 강조한다. FDA에 따르면 환자들이 겪은 초기 증상은 △장액종(물고임. 302명 53%) △통증(150명 26%) △보형물 주변 종괴(덩어리. 94명 16%) △구형구축(유방 딱딱해짐. 73명 13%) △기타( 56명 10%)였다. 가슴에 물이 고이면 환자들은 가슴이 붓거나 무겁고 움직일 때 액체가 움직인다고 느낀다.

노복균 대한성형외과학회 홍보이사(에스원 성형외과 원장)는 “BIA-ALCL은 보형물 주변에서 생기기 때문에 이상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고 말했다. FDA는 물이 고이거나 덩어리가 만져지면 진료를 받으라고 권고한다.

BIA-ALCL의 가장 확실한 치료법은 보형물 제거다. 이때 보형물을 감싸고 있는 막도 함께 제거한다. 암이 그 막에 갇혀 있는 형태(1기)라면 치료효과가 좋다. 엄기성 서울성모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이는 암이 밖으로 번지지 않았다는 뜻으로 막과 보형물만 제거하면 완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수술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없다면 남은 조직에 방사선 치료를 한다. 암이 다른 장기로 퍼졌다면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 병행한다.

이와 관련해 주목할만한 연구결과가 있다. 지난 2017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병원 연구팀이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발표한 것인데, 그동안 발표된 BIA-ALCL과 관련한 연구결과 304건을 종합분석했다. 여기에는 BIA-ALCL 환자 95명의 자료가 담겨 있다. 이에 따르면 환자 83명 중 55명(66%)은 장액종 단계에서, 7명(8%)은 종괴 단계에서 병원을 찾았다. 70% 이상을 초기에 발견한 것이다. 또 치료 기록이 있는 환자 74명의 자료를 보면 62명(84%)이 보형물 및 막 절제술로 1차 치료를 끝냈다. 그후 항암치료는 45명(61%), 방사선치료는 22명(30%)이 받았다. 환자 병기가 기록된 67명 자료에서는 46명(69%)이 1기였고 림프선에 전이가 된 2기부터 다른 장기로 퍼진 4기까지 환자는 21명(32%)이었다. 연구진은 “BIA-ALCL의 전체 생존율이나 무진행 생존기간 등 장기 결과를 논하기에는 아직 사례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했다. 영국유방수술학회는 BIA-ALCL의 5년 생존율을 89%라고 발표했다. 이는 모든 병기의 환자들을 모두 고려한 수치로 1기로 한정하면 생존율은 더 높아진다.

엘러간은 미국에서 환자 지원대책을 발표했는데, 파열이나 구형구축, 장액종 발생 시 치료비를 지원하고 제거수술 시 다른 제품을 지원했다. 다만 전체 재수술비를 지원하지 않았다. 이와 별개로 미국과 영국에서는 엘러간을 상대로 한 환자들의 집단 소송이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도 후속대책을 마련 중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관계자는 “부작용으로 인한 치료비 보상 등 대책 마련을 요구한 상태”라며 “유방보형물 삽입수술을 받은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도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