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을 맡은 신 의원은 “현재 백신 3차 접종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라며 “주로 화이자나 모더나 같은 mRNA 백신이 사용되는데 추후 내년 4차 접종을 준비하는 상황에서 우리 국산 백신을 활용하는데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라고 간담회를 개최한 배경을 설명했다.
기업들은 우선 정부의 구매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창률 셀리드 대표는 “소규모 기업에서는 임상도 중요하지만 대량 생산해서 국가에 공급하는 게 중요한데 사실 대량생산 체계를 갖추는 데 대해서는 정부 지원이 지금 없는 상황”이라며 “대량생산에 상당히 많은 경비가 들어가는데 별도 프로그램이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강 대표는 임상 3상 과정에서 대조백신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유바이오로직스 측도 대조백신 구매에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백영옥 유바이오로직스 대표는 “부스터를 하거나 변이주에 대응했을 때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또 기존 백신과의 대비를 위해서는 대조백신이 필요할 수 있다”고 했다.
아울러 해외에서 주로 임상이 진행되는 부분에 대한 문의도 덧붙였다.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내에서는 임상 지원자 모집이 어려워 해외 임상을 실시하는 기업들이 많은 실정이다. 백 대표는 “해외 임상 결과로 국내에서도 허가해줄 수 있느냐 하는 부분에 대해서 답변을 듣고 싶다”고 문의했다.
이 같은 기업들의 건의사항에 유주헌 보건복지부 코로나19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사무국 총괄팀장은 “백신의 개발 속도를 높여서 개발이 완료 된다면, 변이 대응용 백신도 개발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라며 “기존 개발 백신에 대해서 속도낼 수 있도록 집중 지원 계획도 있고 변이 대응에 대해서도 R&D 등 지원 제도를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위원회 위원인 조인성 중앙대 의대 교수는 “국내 백신이 외국 백신보다 굉장히 가격이 싸니 기업으로서는 비전이 부족하다. 이런 점을 총괄적으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미국 재무부의 기업 지원을 예로 들면서 구체적 지원 마련을 주문했다. 조 교수는 “10조원 이상 지원한 미국 재무부는 지원 방향을 상세히 매주 공개한다”라며 “단순히 선구매 말고 직접지원, 기금 마련, 경비 등 일주일 단위로 업그레이드 하는 걸 지켜보는데 그런 측면에서 우리 좀 러프하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백신 개발 기업들은 자사의 개발 현황을 소개하기도 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코로나19 변이는 물론 사스 바이러스까지도 포함하는 ‘사베코바이러스’ 범용백신 개발 계획을 밝혔다. 조양제 아이진 대표는 지질나노입자(LNP) 전달체 특허를 회피한 양이온성 리포좀 전달체 기술을 강점으로 들면서 호주 및 남아공에서의 임상 계획도 전했다.
셀리드는 유효성 평가 등을 거쳐 내년 2월말 임상시험 신청 계획을 밝혔고 유바이오로직스는 12월 중 임상2상 검체 분석완료 데이터를 확보할 예정이다. 진원생명과학은 T세포 면역을 통한 오미크론 변이 가능성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