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급식이 중단됐을 때 저장성이 부족해 처리가 시급한 친환경농산물은 51개 품목으로 한주에 약 203t 수준이다.
학교급식 중단에 따른 친환경 농가 피해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는 판매 지원 사업을 추진했다.
4월 28일 기준 공동구매와 판촉행사 자가격리자 대상 친환경농산물 공급 등으로 총 1689.7t의 친환경농산물 판매를 지원했다. 이는 이는 3~4월 8주간 누적 피해 물량(1624t)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또 코로나19 확산으로 가정 내 친환경농산물 소비량도 증가했다. 코로나19 이전 3개월대비 코로나19 이후 3개월(2~4월) 친환경농산물 구매량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중은 21.2%로 감소한 응답자(8.1%)보다 많았다.
실제 아이쿱·한살림·두레생협 등 주요 생협의 매출액은 3월 1090억원, 4월 1052억원, 5월 977억원으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30.4%, 13.9%, 16.7% 증가했다.
정부 지원과 민간 소비 영향으로 친환경농산물 주요 품목의 가격은 점차 평년 가격 수준을 회복했다.
쌀·고구마·감자·상추·오이 등 주요 11개 품목의 가격은 코로나19가 확산한 4월 중순 평년대비 2.8% 하락한 반면 6월 상순에는 5.9% 올랐다. 가격이 강세였던 쌀·토마토·양파를 제외한 8개 품목 가격은 4월 중순 평년보다 7.7% 하락했지만 6월 상순 3.9% 상승했다.
|
먼저 친환경농산물 관련 캠페인을 열고 판촉행사, 대체판로 확보 등을 지원해 생산 농가들의 소득 감소를 완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자가격리가 친환경농산물 무상공급과 학생 가정 농산물 꾸러미 지원사업도 친환경농산물 소진과 선호도 제고 효과가 있어 적극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 꼽았다.
계약재배로 학교급식에 납품하던 중 판로가 막혀 소득이 감소한 농가는 특별 경영안정자금을 책정해 지원하고 대응 매뉴얼을 작성해 앞으로 유사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장기로는 공급·판매망·납품처 다각화와 일반 소비자 직거래 판로를 개척하는 노력도 과제로 꼽았다. 정학균 농경연 연구위원은 “친환경 가공식품 산업을 활성화해 학교급식 중단으로 판매되지 못하는 친환경농산물을 소비해야 한다”며 “친환경 가공식품 인증·표시제를 개선하고 유망 친환경 가공식품 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