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日 환율협상, EU 車무관세 카드 던졌다 …중국은 또 보복?

김상윤 기자I 2025.04.08 15:37:39

트럼프 상호관세 9일 시행…"일시 중단 없다"
보복보다는 협상…트럼프에 구애하는 세계 각국
트럼프 관세 50%p 추가 경고에도 굽히지 않는 中
美국채 보유량 2위 중국, 국채매각으로 美타격?

[뉴욕·베이징=이데일리 김상윤·이명철 특파원, 양지윤·김윤지·정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가 예정대로 9일(현지시간) 시행될 전망이다. 세계 각국은 공동 대응보다는 각자도생으로 트럼프 관세 레이더망에서 벗어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 긴밀하게 협의해 온 일본은 엔저 문제 해결 등을 내세워 우선 협상 대상에 올랐고, 유럽연합(EU)도 자동차 무관세 카드를 내걸면서 트럼프 대통령 입맛에 맞추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반면 34% 보복관세 카드를 던진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50%포인트(p) 관세 추가 경고에도 불구하고, 미국산 농산품 관세 대폭 인상과 축산품 수입 중단, 미국 기업 추가 조사 카드 등을 만지작거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중 갈등이 보다 한층 격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FP)
트럼프 관세 50%p 추가 경고에도 굽히지 않는 중국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중국이 8일까지 이미 존재하는 장기적인 무역 남용에 추가된 34% 관세 인상 조치를 철회하지 않는 경우, 미국은 9일부터 중국에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다”고 경고했다. 또 “중국과의 모든 협의는 중단된다! ”고 덧붙였다. 이 경우 미국의 중국에 대한 평균 관세율은 124%정도까지 치솟는다. 캐나다, 멕시코, 베트남, 유럽연합(EU) 등이 자신의 관세정책에 협조하는 데 반해 중국은 보복관세를 부과하며 강경 대응에 나선 것에 따른 조치다.

이런 경고에도 불구 중국은 여전히 굽히지 않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8일 성명을 통해 “미국의 50% 추가 관세 부과 위협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미국이 관세 인상을 강행할 경우 자국의 권익 보호를 위해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무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근거 없는 일방적 괴롭힘”이라고 규정하고, 자국의 대응은 “정상적인 국제무역 질서를 지키기 위한 정당한 조치이고 만약 미국측이 독자적인 길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끝까지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관영매체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미국산 농산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가금육 수입 중단, 미국 기업의 중국 내 서비스 제한과 지식재산권 조사, 미국 영화 수입 제한 등 최소 6가지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美국채 보유량 2위 중국, 국채매각으로 美타격?

일각에서는 중국이 이미 보유 중인 미국 국채 매각을 통해 금리 상승을 유도하며 미국 정부의 차입 비용을 증가시키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날 뉴욕 채권시장에서 글로벌 국채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21.2bp 급등한 4.203%를 기록했다(국채가격 하락). 이는 중국의 미국 국채 매각 움직임 때문일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현재 중국은 미국 국채를 약 7608억 달러 보유하고 있어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보유국이다. 중국의 국채 매각이 현실화될 경우 미국 정부의 이자 부담이 급격히 증가해 경제적 타격이 커질 수 있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트럼프 경제정책의 핵심 중 하나는 장기금리를 낮추는 것이라고 수차례 반복해 왔는데, 이를 겨냥했다는 분석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