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지난 8일 오후 2시부터 여의도·뚝섬·반포 등 일부 한강공원 내 출입통제 조치를 시행했다. 정부가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를 2.5단계로 격상하며 프랜차이즈 카페·식당 등에 집합제한 명령을 내리자 한강으로 몰리는 풍선효과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
현장에서 만난 김모(62)씨는 “산책을 하러 한강공원을 자주 지나다니는데 통제조치 전날까지만 해도 코로나가 없는 것처럼 사람들로 꽉 찼다”며 “조치를 하니 안심이 되지만 또 다른 곳으로 몰리지는 않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여전히 통제되지 않은 시내 공원에 모여 방역 수칙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도 보였다. 10일 오후 청계천 인근에서는 나들이를 즐기는 시민으로 북적였다. 마스크를 쓰지 않은 채 일행들과 음료나 음식을 나눠 먹는 이들도 여럿 있었다.
이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우려는 크다. 서울 마포구에 거주하는 정모(29)씨는 “정부가 모든 곳을 통제할 수도 없는데 ‘여기는 통제 안 됐으니 괜찮다’는 식으로 사람들이 몰리는 걸 보면 답답하다”며 “계속되는 거리두기 강화로 모두가 지쳤는데, 이제 시민들이 나서서 방역을 실천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직접 거리로 나가 방역 수칙 준수를 권하는 시민도 있었다. 문학평론가 장은정(37)씨는 지난 5일 거리두기 및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는 전단지 30여장을 출력해 여의도 한강공원에 모여 음식을 나눠 먹는 이들에게 배포했다. 장씨는 “출력물을 받은 이들 대부분이 당황한 반응을 보였지만, 일부는 취지에 공감했다”며 “사람들의 답답함은 이해하지만 자신의 행동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 시민의식을 실천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한강공원을 전부 통제한다 하더라도 어딘가에서는 풍선효과가 생길 텐데 사회 전체를 틀어막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라며 “정부의 통제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결국 시민들이 방역 수칙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여러 사람이 모여서 음주를 하거나 음식을 먹는 걸 자제하고 한강공원에서는 산책 정도만 했으면 한다”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