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판 커지는 UAM 시장…카카오·SKT·대한항공·롯데 '각축전'

손의연 기자I 2022.05.11 17:38:39

전세계 UAM시장 2040년 740조 성장 전망…국내 13조원 규모 예상
항공·완성차·IT 등 다양한 이종업종 기업 컨소시엄 구성
국내 4개 컨소시엄, 국토부 UAM실증사업 참여 의향 밝혀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국내 기업들이 앞다퉈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미래 주요 운송수단으로 꼽히는 UAM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취지로 여러 가지 첨단 기술이 적용되는 UAM 특성상 독자 진출 대신 다양한 이종업종 기업들과 컨소시엄(연합체)을 꾸리고 있다. 카카오를 주축으로 한 컨소시엄을 비롯해 각 업종을 대표하는 SKT·대한항공·롯데지주를 주축으로 한 컨소시엄들이 구성돼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지난 10일 오후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도심항공교통의 상용화를 위한 ‘K-UAM 상용화를 위한 컨소시엄 출범’ 협약식에서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상엽 LG유플러스 최고기술책임자(CTO),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CTO,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 박일평 LG사이언스파크 대표이사, 장인영 GS칼텍스 부사장, 에두아르도 도밍게즈 푸에르타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 최고상용화책임자(CCO, Chief Commercial Officer), 김영준 파블로항공 대표. (사진=제주항공)
◇카카오 외 5개사 UAM 컨소시엄 구성

카카오모빌리티를 비롯해 제주항공·GS칼텍스·LG유플러스·파블로항공·영국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 등 총 6개사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11일 국토교통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 챌린지(K-UAM GC) 실증사업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 챌린지는 국내 UAM 사업의 확산 및 민관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주관하는 실증 프로젝트다. 오는 2025년까지 UAM의 국내 상용화를 목표로 비행체의 안전성 및 교통관리 기능시험 등을 통합 운용한다. 올해부터 내년까지 2년에 걸쳐 참가자 선정 및 개활지 실증 비행에 돌입해 운영 인프라와 통신중계 플랫폼을 검증하는 1차 사업을 시행한다.

이번 실증사업에서 제주항공은 항공전문인력과 운항 관련 시스템 등 그동안 축적한 항공운항 노하우를 기반으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운항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제주항공이 담당하는 UAM 운항자 외 UAM 기체 제작자, 교통관리서비스 제공자, 버티포트(수직 이착륙 시설) 운영자 등 각 분야의 전문기업들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한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참여 회사들은 각자의 역할을 분담해 UAM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제주항공은 UAM 운항자로 기체의 운항과 관련된 전반적인 항공 운영을, GS칼텍스는 주유소 네트워크를 활용해 UAM 버티포트를 구축한다. LG유플러스는 UAM의 안정적 운행을 위한 교통관리시스템과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완성형 MaaS 애플리케이션 ‘카카오 T’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버티포트 솔루션 구축을 담당한다. 드론 솔루션·서비스 전문기업 파블로항공은 스마트 모빌리티 통합관제시스템(PAMNet)을 개발한 노하우를 살려 UAM 통합운항관제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는 항공 경로 설계와 기체 사후관리를 책임진다.

현대자동차가 지난 ‘CES 2020’에서 전시한 PAV(개인용 비행체) 콘셉트 S-A1. (사진=현대차)
◇“정부 차원 규제 완화 등 정책 뒷받침 중요”

UAM은 수직이착륙 교통수단과 이를 지원하는 버티포트 등 이착륙 인프라부터 항공교통관리 시스템, 데이터, 서비스 등 소프트웨어 분야까지 아우른다. 항공사와 완성차 업계, 건설업계, 정유업계, 통신사 등 다양한 업종의 이종기업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 개발·연구에 나서고 있는 이유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기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 챌린지(K-UAM GC)를 위해 컨소시엄 등록을 하겠다는 의향을 밝힌 컨소시엄은 4개다.

SKT와 한화시스템·한국공항공사·한국교통연구원·한국기상산업기술원 등도 컨소시엄을 만들었다. 한화시스템이 기체 개발과 정비를, 한국공항공사가 이착륙장 구축·운영을 담당한다. SKT는 국내 컨소시엄에 미국 기반 UAM 기체 제조사인 조비에비에이션과 제휴를 더해 시너지를 노리고 있다. 조비에비에이션은 미국 연방항공국의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가장 먼저 받아 선두에 있는 업체로 평가받는다.

KT·대한항공·현대자동차·현대건설·인천국제공항공사 등도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특히 현대차는 미국 UAM 법인 ‘슈퍼널’을 설립하는 등 이 사업에 사활을 걸고 나섰다. 현대차는 UAM 개발부터 제조, 판매, 운영, 정비, 플랫폼 등을 아우르는 사업화 모델을 개발하고 UAM 시험비행을 지원한다. 대한항공은 운항·통제 시스템을 구축한다. 롯데지주를 비롯해 롯데렌탈·롯데건설·민트에어·모비우스에너지도 컨소시엄을 꾸렸다.

UAM의 전 세계 상용화는 2023~2025년쯤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2025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 세계 UAM 시장 규모는 2025년 13조원에서 2040년 74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UAM 시장 규모도 2040년 13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에서만 일자리 16만개, 생산 유발 효과 23조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11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항공, IT 등 다양한 분야가 융합되기 때문에 기업들이 적절한 파트너와 업무협약(MOU)을 맺고 기술을 공유하고 합작법인을 맺는 움직임이 가속화할 것”이라며 “기업의 기술 개발 노력도 중요하지만 정부 차원에서 규제 완화 등 적절한 정책으로 뒷받침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