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현장에서] 금감원 제재 정보 새어나가자 카카오페이 주가 '출렁'

김아름 기자I 2025.04.09 16:12:02

금감원 공식 발표 없이 150억 과징금 부과 소식 전해져
주가 하루만에 3.78% 빠져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카카오페이(377300)의 개인정보 국외 이전 문제가 논란이 되는 가운데, 금융감독원의 공식 발표 이전에 과징금 규모 등 민감한 정보가 잇따라 외부로 유출되면서 금융시장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카카오페이가 지난해 외국환거래 관련 금융감독원으로부터 현장검사를 받은 후 알리페이에 개인정보를 제공한 것에 대해 지적을 받았다. 이는 애플이 부정 결제를 방지하기 위해 ‘NSF 점수’ 산출에 알리페이 시스템 활용을 권고하면서, 카카오페이가 애플의 요청에 따라 전화번호, 이메일 등 일부 개인정보를 알리페이에 제공한 데 따른 것이다.

카카오페이는 해당 정보가 암호화돼 있어 사용자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금융당국은 약 4000만 명의 이용자 개인정보가 사전 동의 없이 알리페이에 넘어간 것으로 보고 지난해 5월 현장검사에 착수했다. 이후 카카오페이는 감사 의견서나 별다른 공식 피드백 없이, 3개월이 지난 지난해 8월 언론 보도를 통해 금감원이 신용정보법 등 위반 여부를 검토 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최근에도 비슷한 일이 반복됐다. 금감원이 제재심의위원회를 열고 카카오페이에 약 150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결정한 사실이 공식 발표 전에 언론을 통해 먼저 알려진 것이다. 카카오페이는 금감원이 아닌 언론 보도로 결과를 전달받은 셈이다.

사건의 진실 여부는 향후 규명될 일이지만, 문제는 이처럼 상장사의 주가가 불확실한 혐의만으로도 크게 출렁인다는 점이다. 해당 보도가 나오자 카카오페이 주가는 하루 만에 3.78% 하락해 2만6700원에 마감했다. 기업 경영에 타격을 줄 수 있는 민감한 정보가 공식 발표 이전에 언론을 통해 유출되는 상황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과징금 등 제재 수위는 금융위원회의 최종 결정으로 확정된다. 금융위는 이르면 이달 말 관련 안건을 논의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과징금 규모도 변동 가능성이 있다. 카카오페이 입장에서는 공식 결정 전까지 부정적인 여론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공식 발표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장사는 물론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민감한 정보가 반복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금융당국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는 이유다.

한편, 카카오페이 측은 “규정에 따라 성실히 소명하겠다”며 말을 아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