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순대 6개에 2만5000원 '바가지 논란' 터지자 "음식 모형 비치하세요"

채나연 기자I 2025.04.02 16:24:20

제주도, 지역축제 바가지요금 관리 대책 마련
"음식 사진·샘플 비치, 페널티 부과"

[이데일리 채나연 기자] 최근 제주 지역축제 행사에서 바가지요금 민원이 자주 발생하자 제주도가 도내 모든 축제에 음식 모형 비치를 권고하기로 했다.

지난달 제주에서 열린 벚꽃축제장에서 판매돼 바가지 요금 논란이 된 순대볶음. (사진=스레드)
2일 제주도에 따르면 도는 앞으로 개최 예정인 도내 축제 판매 부스 내·외부에 판매 품목에 대한 메뉴판과 가격표를 게시하도록 했다.

특히 메뉴판에 음식 견본 사진을 공개하고, 음식 샘플 모형을 판매 부스 앞에 비치하도록 적극 권고했다.

이에 더해 축제장 종합상황실 내에 ‘바가지요금’ 신고센터가 마련된다. 민원이 접수되면 축제추진위원회 등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현장에서 시정·계도 조치를 취한 후 사후관리에 들어서게 된다.

축제장 내 판매 부스 참여자를 대상으로 과다한 요금 청구, 끼워 팔기 등 불공정 행위에 대한 사전 교육도 실시될 예정이다. 또 축제 운영 중에 논란이 발생할 경우 해당 참여자에 페널티를 적용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달 28일부터 사흘 동안 제주시 전농로에서 열린 전농로 왕벚꽃 축제 현장에서 일부 노점이 순대 6개가 든 순대볶음을 2만 5000원에 판매한 사실이 온라인을 통해 확산하며 ‘바가지요금’ 논란이 발생했다.

제주도는 과거에도 ‘비계삼겹살’, ‘파라솔 바가지요금’ 등 고물가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논란을 인지한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달 31일 월간정책공유회의에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노력을 주문했다.

오 지사는 “제주 관광이 비싸다는 이유가 무엇인지 분석해보니 갈치구이가 대표적인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며 “형성된 가격 체계는 1회전 객단가(고객 1인당 평균 구매액) 중심 사고방식에서 비롯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격은 낮추고 회전율은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가격 정책만의 문제가 아니라 관광객의 부담을 줄이고 음식 낭비도 막는 친환경적 접근이자, 제주 관광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 과제”라고 설명했다.

오 지사는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우리가 준비하는 다양한 관광 진흥 정책과 인센티브도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