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공식적인 언급을 삼가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긴장감이 역력하다. 또 다른 ‘사법 리스크’가 시작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 부회장은 지난 2017년 2월 국정농단 뇌물 혐의로 구속됐다가 2018년 2월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석방된 뒤 파기환송심이 진행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기소할 경우 이 부회장은 다시 법정에 서야 한다. 삼성전자서비스 노조 와해와 관련된 수사도 진행되고 있다.
삼성 내부에선 사법 리스크로 인해 코로나19 위기 국면을 벗어나기 위한 전략에 차질이 생기는 것은 물론 자칫 ‘경영 올스톱’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감지된다. 무엇보다 잇단 수사로 인해 지난 6일 대국민 사과 이후 국내외 경영 보폭을 넓혀 온 이 부회장의 행보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 부회장은 지난 13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과 단독으로 만나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논의했고, 18일에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글로벌 기업인 최초로 중국을 방문해 시안 삼성반도체 공장을 점검했다. 삼성전자(005930)는 지난 21일 평택에 10조원 규모의 극자외선(EUV) 파운드리 생산시설을 구축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삼성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막대한 만큼 재계도 검찰 수사 상황을 주목하고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이번 소환으로 인해 삼성의 위기 극복 행보가 타격을 받을까 우려된다. 잇단 수사로 불확실성이 커지면 위기 국면을 벗어나기 위한 동력마저 흔들릴 수 있다”며 “이는 경제 활성화를 기대하는 국민 기대에도 배치되는 만큼 무리하게 수사를 끌고가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