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6일 국민 1000명으로 구성된 ‘아동 학대 7세 고시 국민 고발단’은 서울 종로구 인권위 앞에서 ‘아동 학대 7세 고시 폐지’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
또 고발단은 “불필요한 경쟁과 극단적인 선행학습을 조장해 아동 발달을 해친다”며 교육 당국에 법과 제도 정비를 촉구했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에도 영유아 대상 사교육 실태 전면 조사를 요구했다.
한편 최근 몇 년 사이에 학부모와 학원가에선 ‘7세 고시’란 말이 유행하고 있다. 7세 고시는 초등학교 입학 전 유명 초등 수학·영어학원에 들어가기 위해 치르는 시험을 이르는 말이다. 해당 고시를 치른 후에는 ‘초등 의대반’, ‘영재입시반’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교육부와 통계청은 2017년 영유아 사교육비에 대한 첫 시험조사를 시행했지만, 당시엔 시험조사라는 이유로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고 본조사로 이어지지도 못했다.
|
다만 이러한 조기 사교육이 아이들의 발달과 학업 능력에 실질적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15일 교육부가 정부세종청사에서 실시한 강연에서 김은영 육아정책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지난해 발표한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과 발달에 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교육 효과가 과대 평가됐을 가능성과 함께 아동 발달에 사교육 외 다른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영유아기 사교육 경험은 단기적으로 아이들의 언어능력이나 어휘력 향상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문제해결 능력 발달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사교육에 경험이 많은 아이일수록 자존감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고 했다. 성실성, 개방성, 타인 이해 등 정서·행동 특성과도 사교육 경험은 의미 있는 연관성이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