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지역경제 활성화·지역소멸 대응, K-임산물이 나선다

박진환 기자I 2025.02.11 14:29:45

산림청, 11일 먹거리 임산물 소비 활성화 대책 수립·발표
국가공동상표 숲푸드 개발…2030년까지 1500개 제품등록
대국민 홍보·판로확대 주력…생산자의 조직·규모화도 추진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산림당국이 우리 먹거리 임산물의 소비 촉진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소멸에 대응한다는 전략을 밝혔다. 국가공동상표인 ‘숲푸드’를 개발하는 한편 임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생산자를 조직·규모화하고, 해외시장 진출 지원에도 나서기로 했다. 숲푸드는 표고버섯 등 먹거리 임산물 91종이 등록 대상이며, 2030년까지 1500개 제품 등록이 목표이다.

임상섭 산림청장이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산림·임업단체장들과 먹거리 임산물 소비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
산림청은 11일 이 같은 내용의 ‘먹거리 임산물 소비 활성화 대책’을 수립·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국내 임산물의 소비 기반을 확대하고, 생산·유통·품질관리 전반을 장기·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4대 전략, 13개 추진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먹거리 임산물은 산림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임산물 중 식용이 가능하거나 식품으로 가공할 수 있는 식물·버섯류 및 그 부산물을 말한다.

우선 산림청은 국가공동상표 ‘숲푸드’를 개발해 본격적으로 운영, 임산물 소비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임업인의 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 지역소멸 대응에 기여할 방침이다. 임산물 소비 촉진을 위해 대국민 홍보 및 판로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숲푸드 대축제’, ‘숲푸드 위크’ 등 소비 촉진 캠페인을 적극 전개하고, 임산물을 활용한 지역 특산품 개발 및 지역축제와 연계한 판매 확대를 추진한다.

또 온·오프라인 유통망을 다각화해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임산물의 기능성과 약리성을 제품이나 광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표기 기준을 마련해 홍보효과와 제품 신뢰도를 강화할 방침이다. 임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생산자를 조직·규모화한다. 품목별 자조금 조직을 지원해 생산자들의 협력을 증진하고, 스마트임업 기술 및 기계장비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한다.

임산물의 산업적 가치를 높이고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지원을 확대한다. 산림약용소재를 적극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제약·건강기능식품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산양삼, 초피 등 해외시장 경쟁력이 높은 유망 임산물을 중심으로 상품을 개발하고 판로를 개척해 우리 임산물의 해외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숲푸드’ 등록 임산물은 잔류농약 검사 또는 식품안전관리기준(HACCP),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 등 농식품분야 인증 여부를 철저히 관리할 계획이다.

임산물 국가공동상표 ‘숲푸드’는 표고버섯·산나물·감 등 먹거리 임산물 91종이 등록 대상이며, 올해 300개 제품 등록을 목표로 2030년까지 1500개 제품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임산물 소비가 증가하면 산림의 경제적 가치가 높아지고, 지속 가능한 산림 보전이 실현될 수 있다”며 “국민과 임업인이 함께 상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정책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