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량 예금인출(뱅크런) 사태를 우려했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와 관련해선 나쁜 기사뿐 아니라 좋은 기사도 나오면 안 된다는 게 정부 속내였다. 새마을금고에 국민이 관심 두지 못하도록 하라는 거였다. 당시 정부 방침은 나름대로 합리적이었다고 본다. 비공식 회의 직전인 4월12일 저축은행 2곳에서 거짓 지라시로 인한 일부 예금인출이 발생한 터였다. 새마을금고를 둘러싼 급한 불을 끄는 게 우선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7월 우려했던 예금인출 사태가 발생한 뒤 국민은 본인이 이용하는 금고가 안전한지 불안해한다. 한달 만에 안정을 되찾았다지만 자산건전성은 물론 자본적정성마저 악화하며 위태로운 단위 금고가 늘어나고 있다. 언젠가 공개될 정보에 대한 국민 관심은 높아질 대로 높아졌다. 이런 와중에 정부는 예전 방침을 이어가고 있는 듯하다.
메시지 전략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새마을금고는 안전하다”가 아니라, “A금고는 어떠어떠한 사유로 B금고에 합병될 예정이며, A금고 예금은 B금고로 이전돼 안전히 보호된다” 식의 메시지를 금융소비자는 바란다. 자금 시장에서 미래 불확실성이 커질 때 시장 참가자 불안이 확산하는 것처럼 금융소비자 역시 정보가 없으면 불안해 할 수밖에 없다.
메시지 전략을 수정해야 하는 건 구조조정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졌기 때문이다. 일부 금고에 대한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예금인출을 가장 우려한다. 이미 합병을 결정지은 경기지역 한 금고에서 7월 예금인출 사태가 촉발된 점이 트라우마가 됐다. 새마을금고 정상화를 위한 구조조정이 정부의 메시지 전략에 막혀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