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업계에 따르면 전 세계 175개국 협상 대표는 지난 2일(현지시간) 폐막한 제5차 유엔환경총회(UNEA)에서 오는 2024년 말까지 ‘플라스틱 오염을 끝내기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UNEA는 주요 환경 현안을 논의하는 UN 내 최고 환경회의다.
|
이번 합의안에 따라 전 세계적인 플라스틱 규제가 강화하면 일회용품 위주로 플라스틱을 생산·소비했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석유화학 업계에 끼칠 여파도 클 것이란 게 업계의 전망이다. 재생 원료를 사용한 플라스틱이 주류로 자리 잡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주된 플라스틱 생산국인 미국·인도·중국·일본 등에 상당한 충격을 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협약의 구체적 내용이 확정되진 않았지만, 기존 방식으로 생산되는 플라스틱을 규제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플라스틱 공급망에서도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진행 중인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현재 국내 석유화학 업계는 재생 플라스틱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고, 선제 기술 개발·설비 마련으로 이에 대응하고 있다.
|
해외 업체와 협업을 하는 국내 업체들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LG화학(051910)은 영국의 무라 테크놀로지와 협업해 2024년 상반기까지 충남 당진에 국내 최초 ‘초임계 열분해유 공장’을 연간 2만t 규모로 건설하고, SK지오센트릭은 미국 퓨어사이클 테크놀로지와 손잡고 2024년까지 울산에 폴리프로필렌(PP) 폐플라스틱 재활용 생산 공장을 설립한다.
이 밖에 SKC(011790), SK케미칼(285130), 코오롱인더스트리(120110), GS칼텍스 등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도 플라스틱 재활용 사업을 벌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UNEA에서의 합의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도 플라스틱 재생 원료 사용을 차츰 의무화하고 있다”며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각 기업이 재활용 원료 생산 능력을 키우는 추세”라고 말했다.
최효정 KB증권 연구원도 “국내 석유화학 업체들은 최근 폐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재활용하는 설비를 도입하고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요소를 중심으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은 친환경 공급사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