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3차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산경장) 회의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두산중공업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 산경장 회의는 정부의 구조조정 컨트럴타워 역할을 한다. 이날 회의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은성수 금융위원장, 이동걸 한국산업은행 회장, 방문규 수출입은행장, 이호승 경제수석 등이 참석했다.
산업은행·수출입은행을 포함한 채권단은 이날 두산중공업이 친환경 에너지 전문기업을 목표로 사업구조를 개편하고 대주주 유상증자와 주요 계열사, 비핵심자산을 팔아 재무구조를 개선하겠다는 내용의 정상화 방안을 보고했다. 두산중공업은 유동성 위기에 부딪히자 채권단에서 대규모 자금 지원을 받았다. 대신 자산 매각 등을 통해 최소 3조원 이상의 유동성을 마련하고 사재출연과 인력 구조조정을 담은 자구안을 지난달 채권단에 제출했다.
채권단은 두산그룹의 전반적인 유동성을 점검하는 한편, 두산중공업 경영정상화를 위한 중장기 사업개편 방안과 재무구조 개선계획을 마련해왔다. 채권단은 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두산중공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정상화 기반을 만들 수 있으리라 봤다.
정부와 채권단은 두산의 유동성 확보 상황을 봐가며 브릿지론 형태로 최대 1조원 안팎의 자금지원을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데일리와 통화에서 “채권단이 두산중공업의 재무구조 개선, 사업재편 과정에서 브릿지론 형태의 1조원 이상 추가자금 지원을 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두산그룹이 올해 갚아야 할 차입금은 4조2000억원 규모다. 채권단은 지금까지 두산중공업에 총 2조4000억원을 투입해 당장 급한 불은 껐다. 하지만, 두산중공업 명예퇴직금을 비롯한 구조조정 비용과 앞으로의 운영자금 등도 필요하고 두산이 완전히 정상화하려면 최소 3년 안팎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해서다.
지원 규모는 자구안의 실행 여부와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두산의 자산 매각이 순조롭게 이뤄지거나 시장 차입이 원활해지면 지원 규모는 줄 수 있다. 반면 상황이 악화한다면 그룹의 ‘캐시카우’인 두산인프라코어나 밥캣 같은 핵심 계열사도 시장에 내놔야 할 가능성도 있다.
채권단은 내부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이르면 다음 달 1일 두산중공업 경영정상화 방안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