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이재명 싱크탱크 ‘성장과통합’ 출범…‘3·4·5 성장’ 제시

황병서 기자I 2025.04.16 16:13:21

李 싱크탱크 ‘성장과통합’, 16일 국회도서관서 출범
‘3%잠재성장률·4대수출강국·국민소득 5만달러’ 제시
공동대표 유종일 전 KDI 국제정책대학원장·허민 전 전남대 부총장
“AI 대전환 전 산업 접목해 생산성 높여 선순환 이룰 수 있어”

[이데일리 황병서 기자]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를 지원 사격하는 정책 싱크탱크 ‘성장과통합’이 16일 본격 출범하고 활동을 시작한다. 현직 의원보다는 학자·전직 관료들이 주축인 싱크탱크는 전문가들에게 정책 건의를 받아 이 예비후보의 공약 밑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맡았다.

유종일 성장과 통합 상임공동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성장과 통합 출범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성장과통합은 이날 오전 국회도서관에서 출범식을 열어 3% 잠재성장률, 4대 수출 강국,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를 의미하는 ‘345 성장 전략’을 국가 비전으로 제시했다. 싱크탱크는 제조업의 인공지능(AI) 대전환, 에너지 공급망 혁신, 전략적 첨단산업 육성 등을 집중적으로 논의해야 할 정책 분야로 꼽았다. 싱크탱크는 성장전략분과, 경제정책분과, 산업자원에너지분과, 재정조세분과, 일자리노동분과 등 34개 분과로 구성된다. 각 분야의 전문가와 관료, 학자 등이 분과별로 활동한다.

유종일 성장과통합 상임공동대표는 이날 “AI 기반 기술혁신과 에너지 대전환을 통해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데 정책개발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첨단 과학기술과 주력산업 분야에서 정부와 기업이 새로운 동반관계를 구축해 경제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면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성장과 통합의 상임공동대표는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장을 지낸 유 교수를 비롯해 허민 전 전남대 부총장이 맡았다. 김양희 대구대 경제금융학부 교수와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 김진아 한국외국어대 언어외교(LD)학부 교수가 공동대표로 참여한다. 상임고문단으로는 김호균 명지대 명예교수, 김용익 ‘돌봄과 미래’ 이사장, 구현모 전 KT 사장, 이종원 일본 와세다대 명예교수, 이세정 전 아시아경제신문 사장, 조청명 전 포스코플랜택 사장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 외에도 300여 명의 학자와 관료, 현장 전문가 등이 참여해 민주당 이재명 대선 예비후보의 정책 의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유 상임공동대표는 “우리 산업의 강점인 제조업을 혁신해야 성장 동력을 회복할 수 있다”며 “AI 대전환을 전 산업에 접목해 생산성을 높인다면 성장 과정에서 더욱 많은 기회를 만들고 성장의 과실을 고루 분배하는 성장과 통합의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고 했다.

허민 상임공동대표는 “나라를 걱정하는 지식인들이 중심이 돼 국가적 과제를 선정하고 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모였다”면서 “폭넓은 의견을 수렴해 핵심 전략을 수립하고 공감대를 형성해 국민 통합에 필요한 지혜를 모아나가겠다”고 밝혔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