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금리 내린다곤 했는데…강달러에 깊어지는 고민[e차이나]

이명철 기자I 2025.01.06 16:39:38

인민은행 업무회의 “유동성 위해 적절한 시점 금리 인하”
14년만 통화정책 기조 변화, 지준율 등 다양한 정책 시사
美 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위안화 약세, 환율 방어 관건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중국 인민은행이 새해 들어 또 다시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예고했다. 중국은 지난달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14년만에 통화정책 기조를 완화적 수준으로 전환했다. 이에 올해도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 인하 등 저금리 정책을 이어갈 전망이다. 다만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고 있어 추가 금리 인하에 신중할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중국 인민은행 본관 전경. (사진=게티이미지뱅크)


6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에 따르면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3~4일 개최한 업무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위한 금융시장의 안정적 성장과 유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시점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나 한국 등이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에 대응해 금리를 높였던 지난 몇 년간 중국은 오히려 금리를 낮춰왔다. 부동산 시장 침체로 내수가 부진을 면치 못하자 시중에 유동성을 투입하기 위해서다.

지난달 열린 중앙경제공작회의(공작회의)에서는 올해 경제 정책 방향에 대해 적극적 재정정책과 적절히 완화적 통화정책을 제시한 바 있다. 통화정책은 기존 ‘온건한’에서 ‘완화적’으로 바꿨는데 이는 14년만에 기조 전환으로 올해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시사한 것이다.

인민은행도 공작회의 기조에 따라 최근 업무회의에서 금리 인하 의지를 다시 한번 드러냈다. 여기에 국내외 경제·금융 상황과 금융시장 운용에 따라 다양한 통화정책 수단을 종합적으로 활용하겠다는 문구도 넣어 금리 인하 외 다른 정책도 강구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미 시장에서는 인민은행이 연초부터 적극적으로 정책을 펼칠 수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당장 중국 음력 설인 춘제 전에 지급준비율(지준율·RRR)을 인하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중국 궈하이증권은 최근 낸 보고서에서 “춘제 이후 자금 공백이 상대적으로 큰 점을 볼 때 1월 지준율 인하 가능성이 크다”며 “지준율이 0.5% 낮아지면 장기 자금 1조위안(약 200조원)가량이 풀릴 것”이라고 봤다.

지준율 외 주목되는 부분은 LPR을 내릴 수 있을지다. LPR은 1년물의 경우 신용 대출 같은 일반 대출, 5년물은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된다. LPR을 내리면 대출금리가 낮아지니 시중 유동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난다.

중국 당국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예고한 만큼 올해도 LPR 인하가 계속될 전망이다.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은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올해 인민은행이 정책금리를 0.5%포인트, LPR은 0.25%포인트 내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문제는 현재 계속되고 있는 강달러 현상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해 높은 수준을 유지했던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로 돌아선 바 있다. 하지만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인플레 수준을 우려하며 올해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이 당분간 높은 금리를 유지하겠다는 소식에 달러화는 최근 뚜렷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엠피닥터에 따르면 이날 달러·위안화 환율은 7.329위안으로 전일대비 0.008위안 상승했다.

달러·위안화 환율은 올해초 중국 경기 침체 우려와 연준의 금리 인하 불확실성으로 7.3위안대를 넘나들었다가 하반기 들어 7.1위안 수준까지 내려오기도 했다. 하지만 다시 달러화로 자금이 쏠리자 위안화 약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추가로 금리를 내리게 되면 위안화 약세가 심화할 수 있는 만큼 금리 인하에 고민이 쌓이게 되는 것이다. 이에 중국 통화당국 차원의 대응에도 관심이 간다.

제일재경에 따르면 인민은행은 최근 열린 통화정책위원회 정레회의를 열었는데 3분기와 달리 ‘환율 유연성 제고’ 표현을 삭제하고 ‘시장 관리 강화, 시장 질서 교란 행위 단호히 대처’ 등 환율 부문에 강력한 문구를 넣었다.

이를 두고 제일재경은 “위안화 환율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인민은행의 확고한 의지를 표현하는 동시에 향후 환율 정책 방향을 판단하는 중요한 근거로 외환시장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이라고 풀이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