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트럼프 시대 먹구름 드리운 건설업계…"생산성 개선 시급"

이배운 기자I 2025.02.24 17:21:23

고관세 정책으로 건설 자잿값 21% 인상 예상
건설업 낮은 생산성에 해외 프로젝트 성과 부진
"신기술 도입, 고수익 신사업으로 활로 모색해야"

[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으로 건설 자잿값 급등이 예상되면서 이에 대응한 우리 건설업계의 생산성 개선이 시급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건설현장 전경 (사진=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국회 미래국토인프라 혁신포럼은 24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트럼프 2기 시대 건설산업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 방안’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글로벌 컨설팅기업 맥킨지앤컴퍼니의 김기홍 파트너는 트럼프 대통령의 고관세 정책으로 건설 자잿값이 21%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김 파트너는 “트럼프 정부는 적극적인 과세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보복 관세가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전세계적으로 건설자재 가격이 인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정세에서 우리 건설업계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개선이 시급하지만, 정작 생산성 향상을 위한 혁신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 파트너는 “신기술 도입 자체가 느린데다 생산성 개선 보다는 현장을 제어·관리하고 적기 납기를 지키는 것만 우선시하고 있다”며 “‘어떻게든 비용을 깎아내자, 쪼아보자’는 생각으로 근본적인 투자를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런 와중에 프로젝트의 복잡성이 증가하니 사업 리스크는 확대되고, 납기를 맞추기 위한 돌관작업이 지속되고 있다”며 “결국 노동 인력은 현장을 이탈하는 등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파트너는 건설업계도 생성형 인공지능, 자동화 로봇 등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이 밖에도 데이터센터, 배터리 공장 등 고성장·고수익 신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해 새로운 수익 창출 경로를 모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캐나다의 건설업 진흥 정책을 소개하며, 국내에서도 △민간 투자 유도 △유연한 인허가 체계 도입 △프로젝트 수행방식 혁신 통한 소요 기간 단축 △노동환경 개선 통한 건설업 선호도 개선 △공급망 안정성 확대 등의 도입을 주장했다.

그는 “건설업도 제조업처럼 관리하는 체계를 전환해야 할 것”이라며 “대기업들은 하도급 업체와 같이 성장하는 파트너십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글로벌 건설시장은 2029년까지 연평균 3.4%의 탄탄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2050년 ‘넷제로(탄소중립)’ 프로젝트 목표 달성을 위해 유형자산에 드는 지출은 매년 3조 5000억 달러(약 4992조원) 규모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처럼 프로젝트 수요는 넘치지만, 이에 필요한 공급 역량은 부족한 실정이다. 2023년부터 2040년까지 전 세계 관련 수요(건설 생산액)는 약 200조 달러 규모일 것으로 추산되지만, 현 추세대로면 공급 수준은 이보다 20% 낮은 160조 달러 규모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김 파트너는 “글로벌 건설 생산성은 여전히 2000년 수준을 배회 중으로 제조업 생산성이 3% 성장하는 동안 건설업은 0.4%에 그치고 있다”며 “낮은 생산성과 리스크로 인해 대형 프로젝트의 성과도 계속 저조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관세 전쟁

- 트럼프, 對中관세 선제 인하 일축…“언젠간 낮출 것” - 美재무장관 “관세·감세·규제완화로 제조업 르네상스 재가동” - 아세안+3 재무장관 “글로벌 관세부과로 불확실성↑…금융안전망 강화”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