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한국의 자율주행 개발 기업들과 더 많이 협력하겠다"

김범준 기자I 2025.04.08 14:21:52

우버코리아 송진우 총괄, 서울모빌리티포럼서 발표
파트너 네트워크 확장 기대

[고양(경기)=이데일리 김범준 기자] 우버가 한국 자율주행 기술 기업들과의 협업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공식 석상에서 밝혔다.

8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포럼’에서 송진우 우버택시 코리아 총괄이 ‘내일을 움직이는 모빌리티’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김범준 기자)
송진우 우버택시 코리아 총괄.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송진우 우버택시 코리아 총괄은 8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포럼’ 기조연설에서 “우버는 전기차(EV)와 자율주행차(AV) 생태계의 일원이자 중요한 파트너가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 기업들과 더 많은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모빌리티포럼’은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 한국로봇산업협회 등이 공동 주관하는 행사로, ‘2025 서울모빌리티쇼’의 부대행사로 이달 4일부터 13일까지 열린다.

송 총괄은 이날 연설에서 자율주행 기술이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를 이끌 중요한 열쇠라고 강조했다. 그는 “자율주행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교통과 우버 비즈니스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글로벌 파트너 및 연구자들과 협력해 AV가 인간 운전자와 공존하고, 도시의 필요를 충족시키며, 안전하고 일관된 서비스를 대규모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우버는 미국에서 알파벳(구글 모회사)의 자율주행 기업 웨이모(Waymo)와 협력해 자율주행 로보택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현재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우버 앱을 통해 웨이모 차량 호출 및 탑승이 가능하며, 조지아주 애틀란타로도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이다. 시장조사기관 가이드하우스에 따르면, 우버는 해당 지역에 차고지를 마련하고 차량 유지보수도 담당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도 우버는 현대자동차, 기아, 네이버 등 자율주행 기술 기업들과의 협업을 진행 중이다. 2024년 초 기아와는 목적기반차량(PBV) 사업 확대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같은 해 8월에는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글로벌 CEO가 방한해 현대차와 네이버 경영진을 직접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또한 노아 지크 우버 자율주행 모빌리티·배송 부문 총괄은 지난달 현대차그룹이 개최한 개발자 콘퍼런스 ‘플레오스 25’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로보택시 기반 글로벌 공동 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발표하며 협력 강화 의지를 재차 밝혔다.

송 총괄은 “우버는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서 한국에서 발전 중인 관광 산업을 지원하고, 농촌 지역으로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며 “자율주행차 시대에 맞춰 인앱 안전장치, 운전자 인증 등 새로운 기준을 마련하며 안전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모빌리티는 단순한 이동이 아니라, 안전, 지속 가능성, 생계,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람들의 접근(Access)과 연결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우버는 2020년 전 세계 플랫폼 내 차량을 2040년까지 100% 무공해 차량으로 전환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우버 자체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승객 4명 중 1명은 “우버를 통해 처음으로 전기차(EV)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