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믿을 건 내수” 中 지방정부, 부동산 대책만 170개 내놨다

이명철 기자I 2025.04.09 15:33:10

올해 중국 성·시, 금융 지원·공급 등 정책 잇달아 발표
대외 불확실성 확대, 경제 기여 큰 주택 부문 정책 집중
1분기 주요 도시 거래 규모 6% 증가, 추가 대책도 고려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중국이 미국과 관세 전쟁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자 내수 활성화를 위한 대책에 나섰다. 내수 소비 진작의 필수 조건인 부동산 시장을 안정하기 위해 각 지역에선 금융 지원이나 주택 공급 같은 방안을 내놓고 있다.

중국 베이징에 신축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사진=AFP)


9일 중국부동산정보(CRIC)에 따르면 올해 중국 전국 110개 이상 성과 시·현은 부동산 시장 안정과 시장 신뢰 회복을 위해 170개 이상 정책을 발표했다. 이중 지난달 양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전국인민대표대회) 이후 나온 정책만 60개가 넘는다.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은 “부동산 시장 하락을 멈추고 안정시킨다는 정책 목표 아래 각 지방은 수요 측면에서 주택 구입 문턱을 낮추고 공급 측면은 토지 공급을 최적화하는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우선 대출 정책과 관련해선 30개 이상 성·시가 계약금 비율 하향 조정, 대출 한도 상향 조정, 공적금(장기 주택 적금) 대출 지원 등을 실시했다.

1선도시인 선전은 가계의 최대 대출 한도를 110만위안으로 높이고 각 조건에 맞춰 첫 주택 구매 시 최대 한도를 110%까지 늘릴 수 있도록 했다. 지난·샤먼 등 18개 도시는 주택 적립금 계약금을 20%로 인하했고다.

주택 구매 보조금 정책을 도입한 성·시는 약 20개다. 정저우의 경우 고급 인재에 최대 300만위안의 주택 구매 보조금을 제공하고, 우시는 마라톤 대회를 결합해 참가자에게 주택 구매 보조금 3만~8만위안을 지급했다.

주택 구매자 상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금융 지원도 실시하고 있다. 쑤저우는 지난달 낮은 계약금, 낮은 이자, 낮은 월 상환금 등을 골자로 한 금융 상품을 출시했으며 난징도 초기 상황 부담을 줄이는 새 대출 프로그램을 내놨다.

공급 측면에서는 약 11개 성시가 토지 공급 최적화, 기존 주택 활성화, 승인 절차 간소화 등을 추진 중이다.

광둥성과 쓰촨성은 신규 택지 공급을 통제하고 랴오닝성은 상업 주택 12만가구를 매입해 보장 주택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충칭·상하이·광저우·선전 등 10개 성·시는 도시 재개발과 금융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일련의 정책은 작게나마 효과를 보고 있다. CRIC는 중점 모니터링 대상인 30개 도시의 지난달 주택 거래 규모가 전년동월대비 3% 가량 증가했고 1분기 기준 전년동기대비 6% 늘었다고 밝혔다. 상하이·광저우·항저우 등의 신축 주택 온라인 계약 거래 면적은 전년동월대비 20% 이상 증가했다.

제일재경은 “베이징·상하이·청두·항저우·쑤저우 등 인기 도시 땅값이 계속 고점을 경신하고 있다”며 “부동산 시장은 전반적으로 하락을 멈추고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미국의 연이은 관세 인상으로 대외 무역에 큰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부동산 시장의 긍정적 추세를 이어가기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중국 관영 증권시보는 이날 중국 도시들이 부동산 시장을 더욱 안정시키기 위해 더 많은 정책을 숙고하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광카이최고산업연구소의 리안 핑 수석 경제학자는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GT) 인터뷰에서 “지난해 주택 판매와 투자는 국내총생산(GDP) 약 15%를 기여했고 건자재 등 관련 산업을 고려할 때 주택 부문의 경제 비중은 훨씬 더 크다”면서 “지방정부의 조치가 부동산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으면서 올해 미미한 개선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