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충청권을 비롯해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구감소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가운데 대전에서도 청년인구 40만명 선이 무너졌다. 특히 충청권의 청년 유출이 급증하면서 각 지자체들이 앞다퉈 청년 모시기에 나서고 있지만 효과는 미미해 강력한 수도권 규제 등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대전시, 대전상공회의소 등에 따르면 대전에 거주하는 20~39세 청년 인구는 지난달 기준 39만 3380명으로 집계됐다. 2003년까지 상승세를 기록하면서 50만명대에 올라섰던 대전의 청년 인구는 이듬해부터 감소세로 전환했다. 최근 5년간 대전의 청년 인구는 연평균 7300여명씩 줄어들면서 도농복합지역인 충북보다 큰 감소폭을 보였고, 지난해 12월에는 40만명 선이 무너졌다. 타 지역으로의 전출한 이유를 묻는 대전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2.9%가 ‘직업’ 때문이라고 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충북과 충남도 비슷한 상황이다. 최근 5년간 연평균 청년 3100여명이 줄어든 충북은 이미 2020년에 40만명선이 무너졌고, 충남은 지난해 9월 50만명 미만을 첫 기록했다.
이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은 다양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수년간 이어지고 있는 출산율 감소에 따른 여파가 청년층 연령대에 이르렀다는 분석과 함께 세종시의 블랙홀 현상 등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그러면서도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수도권 집중화 현상을 지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1000대 기업의 86.9%가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어 지역에서 대학을 졸업한 젊은 인재들이 보다 나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행을 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충남 보령에서 열린 ‘지방소멸 대응 위한 담당자 워크숍’에서 허문구 산업연구원 국가균형발전연구센터 센터장은 “지방소멸 문제는 출산율이 줄어들어 발생하는 문제가 아닌 지역 인구유출·이동이 문제”라며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 인구를 집적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현재 충청권 메가시티가 진행되는 가운데 4개 시·도가 힘을 합쳐 정부 관련 예산을 최대한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청년들이 지역을 떠나면서 당장 지역 중소기업들은 심각한 구인난에 허덕이고 있다. 대전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지역 대학졸업생 및 졸업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우수기업 알리기 등의 캠페인을 펼치고 있지만 지역 인재들이 대부분 수도권의 대기업 또는 공공기관 입사를 희망하면서 직원을 채용하지 못해 구인난을 겪고 있는 기업들이 적지 않다”며 “수도권, 대기업 선호현상이 최근 더 강해지면서 대학부터 서울행을 택해 지역대학은 물론 지역 중소기업들이 고사 위기에 처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대기업 본사의 지역 이전을 촉진하고, 이전한 기업들에게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지역균형발전에 국가적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충청권의 한 지자체 관계자도 “지난 수년간 인구감소, 특히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정책적 수단을 동원했지만 모두 역부족이었다”면서 “정치권과 정부가 나서서 수도권 공공기관의 지역이전과 함께 대기업 본사·생산시설의 지역이전을 추진해야 지역의 소멸 시기를 그나마 늦출 수 있다”고 단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