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출연연 1호 국가특임연구원으로 김명환 한국화학연구원 차세대 이차전지 전략연구단장을 임용한다고 28일 밝혔다.
|
기존에는 공공기관 관리체계 하에서의 채용 절차, 보수 수준 등의 한계로 급변하는 연구 환경에 맞춰 국내외 석학이나 관련 분야 최고 전문가를 영입하기 어려웠다.
출연연 운영규정 제정과 국가특임연구원 도입을 통해 비공모 특별채용, 정년 적용 없는 파격적 보수 지급이 가능하도록 제도가 마련됐다.
김명환 단장은 지난 1996년 LG화학 초대 배터리개발팀장으로 임명된뒤 국내 최초 리튬이온전지 원천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성공해 전량 수입하던 리튬이온전지를 내재화하는 기틀을 마련했다. 2000년대에는 중대형 전지 분야를 개척해 이차전지 종주국인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초 전기차용 리튬이온전지 상용화했다.
또 안전성 강화 분리막(SRS) 개발, 세계 최초 3성분계 NCM523 양극재 개발과 원통형전지 적용, 하이니켈 양극재의 자동차용 전지 적용, 주요 글로벌 자동차 업체의 전기차용 전지 개발·양산 등 우리나라가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을 이끌어 나가는데 기여했다.
과기정통부는 출연연이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과 함께 국가적 임무에 도전하고 국민의 삶에 기여하는 대형 연구 성과를 창출하도록 국가특임연구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국가특임연구원 제도 외에도 출연연이 연구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제도적·재정적 지원 방안을 검토해 나갈 방침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출연연이 국가연구개발기관으로서 다양한 혁신 주체가 협력하는 산·학·연 역량결집 거점이 돼야 한다”며 “앞으로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국가특임연구원으로서 출연연이 지닌 연구 인력·인프라와 함께 눈부신 성과를 만들어나가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