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때문에 정부가 이번 사태의 책임을 포스코에 돌리려는 것 아니냐는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한편에선 현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체제를 흔들기 위한 의도적인 조사라는 관측도 나온다.
|
15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포항제철소 침수로 제품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는 포스코를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지난 14일 “포항 철강 산업의 피해는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라며 “태풍 힌남노가 충분히 예보된 상황에서도 이런 큰 피해가 발생한 점을 중점적으로 따져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철강재는 ‘산업의 쌀’이라고 불릴 만큼 모든 사업의 주요 자재로, 생산 정상화 시기를 예측하고 공급망 안정을 확보하는 게 중요한 만큼 이번 조사가 필요하다는 게 산업부 의견이다. 이에 따라 산업부는 이번 주 중 민관 합동 ‘철강 수급 조사단’을 구성해 포스코의 정확한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철강 수급 영향 등에 대한 전문가 진단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업계에선 제품 생산까지 못 할 정도로 침수 피해가 커진 데 따른 책임을 포스코에 떠넘기려는 의도가 이번 조사에 담긴 것 아니냐는 해석이 제기된다. 사고 당시 태풍의 이동 방향과 세기 등이 널리 알려졌는데도 피해를 막지 못했다는 점을 부각한 정부 발표 속 표현들도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된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특히 정부의 이번 조사가 포스코 경영진에 침수 사태의 책임을 묻기 위한 포석이라고 풀이하는 시각도 있다. 포스코는 지난 2000년 10월 민영화 이후에도 정권이 바뀔 때마다 지배구조 정점에 있는 회장이 교체돼왔다. 포스코 정상 가동 시점을 두고 정부와 포스코 전망이 엇갈리는 현재 상황도 이러한 해석에 힘을 보탠다.
|
그러나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침수 원인을 인근 하천인 냉천의 범람으로 꼽는다. 사고 당일인 지난 6일 임직원들이 제철소 내에서 대기하며 태풍에 대비했는데도 이날 새벽부터 최대 500㎜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고 냉천이 범람하면서 구조적으로 제철소의 침수를 막을 수 없는 지경이었다는 게 포스코 측 설명이다.
냉천 범람으로 포항 시내의 피해도 속출한 상황에서 냉천 바로 옆에 있는 포항제철소 피해가 없길 바라는 건 무리란 지적도 잇따른다. 일각에선 포항시가 지난 2012년부터 하천 정비사업을 벌이며 냉천 하류에 수변공원을 조성했는데, 이 때문에 하천 폭은 줄고 유속은 빨라지면서 냉천 일대가 범람하기 쉬운 환경으로 바뀌었다는 지적도 내놓았다.
포스코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른 시일 내 냉천 바닥을 준설하고 불필요한 구조물을 제거하는 등 하천을 재정비해 물길 흐름을 원활하게 바꿔야만 냉천의 범람을 구조적으로 막을 수 있다”며 “앞으로 태풍, 폭우 등에 대비한 냉천 재정비를 위해 포항시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냉천 범람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하천 정비사업이 꼽히는데, 이를 무시한 채 포스코만을 겨냥한 조사가 이뤄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며 “지자체(포항시)에 대한 진상 조사를 병행해 명확하고 납득할 만한 결과가 도출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조사 결과, 지자체의 무리한 하천 정비사업이 이번 범람 사태를 빚은 주된 원인으로 밝혀진다면 포스코가 아닌 정부 차원에서 책임을 져야 하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
포스코 관계자는 “긴급 발주가 필요한 품목들을 공장별로 일일이 파악하면서 설비공급사와 핵심 설비 점검을 위한 국내·외 기술전문가 파견 협의도 진행하고 있다”며 “일부 압연 라인의 배수와 진흙 제거 작업을 마치고, 피해 상황을 파악해 이르면 이번 주 중 전체적인 피해추산액과 압연공장의 복구 가동계획 등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산업부 관계자는 “울산, 여수, 서산, 당진 등 국내 대규모 산업시설은 물류·용수 때문에 포항처럼 바다에 접해 있는 만큼 유사 피해 재발을 막고자 이번에 왜 피해가 예상보다 커졌는지를 살펴보겠다는 것”이라며 “정부는 피해 복구를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으며 복구 이후 유사 재난 상황을 고려해 전국 산업시설 취약 설비 개선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