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출범 이후 철강·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를 시행하고 있다. 국가별 상호관세도 부과하겠다고 했지만, 발효되는 첫날인 9일(현지시간) 90일 유예를 했다.
그럼에도 여전히 불확실성이 커 우리 경제 전 분야에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정부는 분야별 면밀한 점검과 분석을 위해 기존 대응체계를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로 확대·운영하기로 한 것이다.
TF는 글로벌 관세부과에 따른 각 부문별 영향을 심층 분석하기 위해 산하 작업반을 운영한다. △금융위(금감원, 정책금융기관) △산업부(산업연구원, 무역협회) △농식품부(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해수부(KMI) △중기부(중진공)등 관련부처와 유관기관·연구기관·협회 등의 협업체계를 적극 활용한다.
부처 간 신속한 정보공유와 공동작업을 통해 관세 피해 분야에 대한 점검과 대응을 논의한다. 글로벌 관세전쟁 동향이 수시로 변하고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무역·산업·공급망 변화 등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법도 논의할 계획이다.
또 TF의 점검결과는 필요시 경제관계장관회의 등 장관급 회의체를 통해 논의해 범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대응과 지속적인 후속조치가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김 차관은 또 이날 관계부처들과 함께 최근 외환시장 상황을 점검했다. 김 차관은 “최근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정부는 현재 시장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국제금융시장 전반, 주요 국가들의 상황 등과 비교해 국내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되는지에 대해 경계감을 가지고 살펴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