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전문가들은 터질 게 터졌다고 입을 모았다. 수도권 대형병원 한 응급의는 “매일같이 사직서를 내고 새로운 병원으로 떠나는 응급의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문제는 사직서를 마음 속에 준비해 놓은 응급의가 부지기수”라며 응급의 줄 사직 사태 확대 가능성을 귀띔했다. 이같은 상황에 병원은 24시간 가동해야 할 응급실을 야간에 닫아두거나 일부 진료는 보지 못한다며 환자를 골라 받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서울 빅5 병원은 안과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단순 봉합 진료 불가를 써 붙여두고 경증 환자를 받지 않고 있다.
|
다른 전문가는 응급의료 배후진료 역량 강화를 통해 상황을 개선할 수 있다고 봤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응급의료 배후진료 역량 강화 및 제도 개선을 위한 토론회’에 토론자로 나온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은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구급차에서 응급실로 진입하는 단계의 차질이 아니라 1층 응급실을 거쳐 2층 이상의 입원 병실로 올라가는 단계가 꽉 막힌 것”이라며 “응급실 소속 의사들의 응급 진료가 안 되는 게 아니라 내과·외과 등 뒤를 책임져줄 배후 진료과 의사들의 입원 진료가 24시간 365일 제공되지 않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짚었다.
응급실에서 환자로 받아도 이를 치료할 배후 진료과 의사들의 부재로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는게 응급실 대란의 핵심이라는 얘기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선 응급실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는 토대 구축이 필요하다고 봤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심혈관, 뇌혈관, 외상 등 주제에 따라 소관 부처별로 제각각 센터를 지정하는 난립 체계를 응급의료 기능의 층위에 맞춰 통합적으로 재배치해야 한다고 봤다. 총 131개 지역응급의료센터와 239개 지역응급의료기관을 기능적으로 재구조화하면서 선택과 집중의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
이경복 순천향대 신경과 교수는 “현재 응급의학과 위주로 응급실 인력이 배치되는데 응급의학과 내에 응급신경과, 응급소아과 등과 같이 전문진료 분야를 도와줄 수 있는 배후진료과 인력을 편성한다면 전문진료가 필요한 환자를 함께 감별하고 적정 치료까지 이뤄질 수 있어 골든타임 내 환자 처지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이런 전문의가 주간근무를 커버하면 응급의들의 근무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될 경우 여러 신경학적 문제로 응급실에 방문하는 환자들의 진료를 빠르게 진행해 응급의학과 의사들 근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실제로 현재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실을 포함한 일부 대학병원에서는 신경과 교수가 상주하며 응급실 신경과 진료를 직접 담당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보호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개진됐다. 이해영 중앙심뇌혈관센터장 겸 심근경색증연구회 이사는 “전문진료과의 응급진료대기수당의 일괄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며 “응급의료 연계 응급 전문진료행위에 대한 법률분쟁 보호 대책 법제화도 필요하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