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전공의 충원 한자릿수…전문가들이 말하는 해법은

이지현 기자I 2024.07.31 17:57:25

“전공의 요구 들어줘야” Vs “전공의 없는 병원 Go”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사직 처리된 전공의 7648명 중 9월 하반기 채용시장에 나선 전공의는 극소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빅5’ 병원 지원자는 한자릿수에 그칠 전망이다. 앞으로 의료 상황은 어떻게 되는 걸까? 전문가들은 서로 다른 전망과 해법을 내놨다.

김성근 가톨릭의대 교수비상대책위원장은 “전공의 요구사항이 바뀐 게 없고 교수들이 얘기한 것도 바뀐 게 없다”며 “(정부가) 다른 방법을 강구해봤자 특별하게 답은 없을 거 같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로선 뾰족한 답이 없다”며 “전공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는 이상 다른 대안을 제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공의 사직 처리 마감일 15일 서울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복도를 걷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전공의들은 7대 요구 사항은 △2000명 증원 및 필수의료 패키지 전면 백지화 △명령 철회 및 사과 △업무개시명령 전면 폐지 △과학적 의사 수급 추계를 위한 기구 설치 △수련병원 전문의 인력 채용 확대 △불가항력 의료사고 법적 부담 완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등이다. 정부는 이 중 2000명 증원 철회 등을 제외한 6가지를 모두 논의 추진 중이다.

이에 대해 오주환 서울의대 교수는 “정부와 전공의 사이에 신뢰가 있다면 이것만으로도 복귀를 타진했겠지만, 지금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의대 증원 숫자에 너무 경도됐다는 점을 인정하는 게 문제 해결의 키가 될 것”이라며 “전공의 마음을 돌리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정형선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정부 정책에 반발하는 건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지금은 그걸 넘어서는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체적인 의료시스템 개선을 위해선 정부가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봤다.

조승연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인천시의료원장)은 “전공의들이 (의대생) 숫자를 늘리지 말라는 건 결국 밥그릇 싸움”이라며 “이건 노동자의 권익이나, 민주화 투쟁도 아니다. 여기에 진다는 그게 나라인가”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진료전문(PA)간호사의 경력이 쌓이면 전공의보다 낫다”며 “PA간호사가 늘면 교수들이 지금보다 더 많은 환자를 볼 수 있다. 여러 국가가 그렇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젠 전공의가 특정 병원 출신 전공의가 아닌 대한민국 전공의로 키워야 한다”며 “국가 프로토콜을 익히게 해서 배출한다면 다신 이같은 상황은 재발하지 않을 거다. 정부가 흔들림 없이 원칙대로 하려면 이젠 전공의에게 무관심해질 때”라고 덧붙였다.

내년부터 전문의 배출에 차질이 생기는 것과 관련해 정형선 교수는 “우리나라의 의사 중 90%가 전문의로 간다. 이는 전세계 중 톱”이라며 “현재 브레이크가 생겨서 전문의로 가는 사람이 줄어들 수 있지만, 전체 의료 흐름상 큰 문제가 없다”고 봤다. 이어 “전공의가 전문의 훈련을 안 받는 건 당사자의 경력 문제기 때문에 당사자들이 가장 불편해하고 아쉬워해야 하는 건데 우리나라는 반대 상황”이라며 “이들에 대한 높은 관심은 전공의 복귀를 늦추게할 뿐이다. 이젠 의료 개혁과제 추진에 매진할 수 있도록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릴 때”라고 말했다.

의료계 집단행동

- 의정 갈등 장기화에…교육부, 의대국 신설 추진 - 의협 비대위 "의학회·의대협회…여의정협의체 나오라" - 의협 비대위 "올해 의대 모집 전면 중단하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