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트럼프와 각세운 아마존, '꿈의 시총' 1조弗 돌파..애플 넘본다(재종합)

이준기 기자I 2018.09.05 15:34:40

4일 종가 기준 시총 9조9950억달러
시총 '1조달러 클럽' 가입 '초읽기'
"특유의 사업 다각화가 원동력" 분석
규제·트럼프·CEO..'최대 리스크'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뉴욕=이데일리 이준기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비판을 한몸에 받아온 ‘유통 공룡’ 아마존이 4일(현지시간) 장중 ‘꿈의 시가총액’으로 불리는 시총 1조달러(약 1117조5000억원) 고지를 돌파했다. 종가 기준으론 시총 ‘1조달러’ 클럽 가입은 불발됐지만,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평가받는다. 만약 아마존이 종가 기준으로 시총 ‘1조달러’ 돌파에 성공하면 지난달 2일 미 상장기업으론 처음으로 시총 1조달러를 넘은 애플에 이어 두 번째 가입 멤버가 된다. 두 기업 간 최대 시총 쟁탈전이 임박한 것이다. 일각에선 애플이 상장 38년만에 달성한 시총 1조달러를 아마존은 불과 상장 21년 만에 넘보는 만큼, 향후 사업 다각화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더 극대화한다면 아마존의 애플 추월은 시간문제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다만, 아마존의 막강한 온·오프라인 영향력에 대한 견제의 목소리가 만만찮은 점은 부담이다.

◇1조 클럽 가입 초읽기..‘사업 다각화’ 효과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아마존의 주가는 오전 한때 전 거래일 대비 1.9% 오르면서 주당 2050달러50센트를 기록했다. 이는 시총 1조달러 달성의 기준점인 주당 2050달러27센트를 넘어선 수치다. 그러나 종가 기존으론 주당 1.33% 오른 2039달러 51센트(시총 약 9950억달러)에 그치면서 시총 ‘1조달러’ 클럽 가입은 일단 다음으로 미뤄졌다.

미 월가에선 아마존의 시총 1조달러 돌파는 이미 예견됐던 것으로, 성공 원동력 이면엔 전례 없던 공격적인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가 자리 잡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1994년 제프 베이조스(사진)가 시애틀 창고에서 창업한 온라인 서점 아마존은 현재 ‘안 파는 것이 없을 정도’로 영토를 무한히 확장해왔다. 지난해에만 미 최대 유기농 식품업체인 홀푸드와 온라인 약국 필팩을 잇달아 사들였다. 또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에 진출, 회사의 주요 수익원으로 만들기도 했다. 지난 2분기 클라우드 사업은 아마존 영업이익의 55%, 매출의 20%를 차지했다. 루프 벤처스의 애널리스트 진 먼스터는 “투자자들에게 아마존 특유의 유통 방식이 다른 모든 분야에서 적용된다는 확신을 줬다”고 했다. 최근엔 미국 내 50여개 극장, 260여개 스크린을 보유한 극장 체인 ‘랜드마크 시어터’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아마존의 ‘진격’은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미 경제전문매체 CNBC방송은 아마존은 이미 시총 ‘2조 달러’ 고지를 위한 레이스를 시작했다며 아마존 클라우드 비즈니스인 ‘아마존 웹 서비스’(AWS), 건강 및 약국 사업, 광고, 인공지능(AI)과 음성 인식기술, 오프라인 매장 등을 아마존의 강점으로 지목했다.

◇규제 강화+트럼프 대립+CEO리스크 ‘걸림돌’

그러나 날로 커지는 영향력이 아마존에 득이 될지, 독이 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반독과점법 위반, 판매세 등 세금 회피, 우체국으로부터의 낮은 배송 요율 적용 특혜 등의 의혹을 제기하며 정부의 강력한 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아마존에 반독점법을 적용, 세무조사에 나서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미 정치전문매체 악시오스가 보도하기도 했다. 최근 시장의 자금이 아마존을 비롯, 구글 모회사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정보기술(IT) 관련주에 몰리다 보니, 규제 강화에 대한 목소리는 더욱 커지는 실정이다. 알파벳과 MS의 시총도 9000억달러에 육박한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과 정치적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베이조스가 소유한 워싱턴포스트(WP)가 대선 후보시절부터 자신에 대해 비판적인 기사들을 쏟아내는 데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하며 ‘아마존 때리기’에 집중해왔다. 지난 3월 한때 아마존의 시총 약 900억달러(약 100조2800억원)가 사라졌던 배경이다. 베이조스에 대한 비판 여론도 부담이다. 이른바 ‘CEO(최고경영자) 리스크’다. 2016년 대선 당시 민주당 후보 자리를 놓고 힐러리 클린턴 전 장관을 위협했던 버니 샌더스(무소속·버몬트) 상원의원은 최근 “직원 평균 급여가 2만8000달러(약 3103만2400원)에 불과하다”며 아마존이 임직원을 ‘착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더 나아가 “아마존 직원 3명 중 1명은 푸드스탬프, 공공주택 등 공공지원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국제노조총연맹은 2014년 ‘세계 최악의 CEO’로 베이조스를 꼽았으며, 이듬해 뉴욕타임스(NYT)는 아마존의 ‘잔혹한 근무환경’을 대서특필했다. 지난달 공개된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베이조스의 자산은 1500억달러(약 169조원)를 돌파, 세계 최고 부자에 등극했다.
사진=AFP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