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개헌은 필요하지만 지금은 내란 극복이 훨씬 더 중요한 과제”라며 ‘5·18 광주민주화운동 전문 기재’, ‘계엄 선포 요건 강화’에 한정해 대선과 개헌 투표를 동시 실시를 수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5·18 광주 정신을 헌법 전문에 게재하는 문제, 계엄 요건을 강화해 함부로 친위 군사 쿠데타를 할 수 없게 하는 것은 국민의힘도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며 “국민투표법을 개정해 개헌이 가능하다면, 내란 종식·극복의 중요한 과제로서 곧바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부분 개헌 역시도 국민투표법의 조속한 개정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국민투표법상 사전투표가 허용되지 않는다. 헌법 개정안은 본투표일에만 할 수 있어, 사전투표하는 사람들은 개헌투표를 할 수 없다”며 “물리적으로 개헌을 하려면 이번 주 안에 개정안 처리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李 “4년 중임제 필요하지만, 대선 전 논의는 국론분열”
개헌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이는 권력구조 개편에 대해선 필요성을 공감하면서도 그 시점은 대선 이후가 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우 의장이 필요성에 공감했던 ‘4년 중임제’를 포함해 △대통령 소속인 감사원의 국회 이관 △국무총리 추천제 △결선투표제 △자치분권 강화 등을 예시로 들며 대선 전 논의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
그는 다만 “이런 것들은 논쟁의 여지가 매우 크다. 실제로 결과는 못 내면서 논쟁만 격화돼 국론 분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이런 복잡한 문제들은 각 대선 후보들이 국민에게 약속하고 대선 이후 최대한 신속하게 공약대로 개헌하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처럼 개헌이 필요하지만 지금 당장은 내란 종식이 더 우선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지금은 개헌을 통한 더 나은 민주주의도 중요하지만, 민주주의 파괴를 막고, 파괴된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힘, 대통령과 국회 모두의 권한 축소 방점
민주당과 달리 국민의힘은 이날 우 의장의 제안을 수용했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낡고 몸에 맞지 않는 ‘87 체제’를 넘어야 한다. 개헌은 대한민국의 국가 시스템을 새롭게 짜는 일”이라며 대선과 함께 개헌 국민투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입장이 나온 후 언론공지를 통해 “양당 지도부가 대선 동시 투표 개헌에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환영한다”며 “대선에서부터 개헌이 시작될 수 있도록 국민투표법 개정부터 서두르자”고 했다. 이 대표의 조건부 수용을 확대 해석한 것이다.
하지만 실제 개헌 논의가 진행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개헌의 가장 핵심이 되는 권력구조 개편의 포함 여부에 대해 양당의 입장이 극명하게 엇갈리는 상황이다. 이 대표가 권력구조 개헌을 대선 이후로 미뤄야 한다고 밝힌 반면, 국민의힘은 개헌의 목적을 ‘대통령과 국회의 권한 축소’에 초점을 두고 있다.
민주당 내부에선 우 의장의 갑작스러운 개헌 제안에 대해 성토가 이어졌다. 한 재선 의원은 “우 의장이 자기 정치를 위해 했다고 보지 않는다. 진정성을 믿는다”면서도 “일반 법률도 아닌 헌법을, 국회의원들끼리 두 달 내에 뚝딱 개정하자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