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안수연 인턴기자]서울 소재 대학에서 인문사회계열 학과는 폐과되고, 공학계열 학과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률로 평가하는 정량 지표로 인해 일어난 현상이라는 문제가 제기됐다.
강득구 국회의원실이 28일 공개한 ‘서울 소재 대학 학과 통폐합 현황’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서울 소재 대학에서 인문사회 계열 학과 17개는 폐과되고 공학 계열 학과 23개가 신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외대는 지난 20년 지식콘텐츠 전공, 영어통번역학전공, 영미권통상통번역 전공이 융합인재학부로 통합되었다. 지난해 삼육대는 중국어학과와 일본어학과가 항공관광학부로 통합폐과 되었다.
반면 공학계열 학과는 17개의 대학에서 신설됐다. 고려대학교에는 융합에너지공학과, 데이터과학과, 스마트보안학부 등이 단순 신설되었고 한양대에는 데이터사이언스학과, 심리뇌과학과가 단순 신설되었다. 이 밖에도 중앙대(3개), 세종대(2개), 서울과학기술대(1개) 등에서 공학계열 학과 신설이 이루어졌다.
이미 지방 대학가에서는 학과가 폐과나 통폐합되면서 전임교원의 수가 줄어들어 생기는 문제제기가 있었다. 강의의 선택 폭이 좁아지는 것과 강의수준의 저하를 우려하는 학생들의 반발이 여러 차례 발생했다.
국내 대학교에서 이어지는 인문계열 학과 축소 현상에 대학별 취업률 평가 정량 지표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실제로 지난해 실시된 대학기본역량진단 경우 3년 전보다 졸업생 취업률 평가 비중이 높아졌다.
강 의원은 “K 문화 파급력이 커지는 이면에는 인문학이 기반이 된 부분이 있다”라며 “인문학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가지표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