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中광물쓰면 美수출막혀…호주가는 기업들

박순엽 기자I 2022.09.22 18:43:07

국내 광물자원 1위 공급국…리튬·니켈 매장량 多
‘美와 FTA 체결’ IRA 규제서도 비교적 자유로워
양국 정부 공급망 협력 기조 강화 분위기도 한몫
포스코·LG엔솔·현대차 등 호주 기업과 협력 나서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등으로 촉발된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심화하면서 호주로 눈을 돌리는 국내 기업이 늘고 있다. 탄소중립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 기조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핵심 광물의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호주는 핵심 광물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데다 정부 간 협력 기조도 강화되고 있는 국가로 평가받고 있어서다.

한국 6대 핵심 광물의 호주 생산·매장량 세계순위·점유율 (표=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호주, 리튬·니켈·코발트 등 ‘6대 핵심 광물’ 매장량 많아

22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에 따르면 호주는 지난해 국내 광물자원 1위 공급국으로, 국내 일반 광산물 수입의 42%를 차지했다. 여기에 더해 호주는 한국이 탄소중립을 위해 지정한 6대 핵심 광물(리튬·니켈·코발트·흑연·희토류·백금족) 중 리튬·니켈·코발트 매장량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국가로도 꼽힌다. 희토류 매장량도 세계 6위에 달한다.

게다가 최근 미국에서 발효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Inflation Reduction Act)으로 국내 배터리(이차전지) 업체 등이 공급망을 다변화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면서 호주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은 6대 핵심 광물의 약 4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데, 전기차 배터리(이차전지)에 쓰이는 리튬과 코발트의 중국 의존도는 각각 58%와 40%에 이를 정도다.

무엇보다 국내 기업들은 호주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라는 점을 눈여겨보고 있다. IRA법안에는 미국 및 미국과 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배터리 광물을 일정 비율 이상 (2023년 40%→2027년 80%) 쓰도록 하고 있어서다. 중국산 광물을 점차 배제하려는 IRA법안 규제로부터 호주산 광물은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특히 광물 채굴뿐만 아니라 정제 기술 부분까지 지원을 확대하고 있는 호주 정부의 움직임도 국내 기업의 눈길을 끄는 요소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핵심 광물 공급망의 취약성이 드러나자 호주 정부는 지난해 안정적이고 경쟁력 있는 자국 공급망을 내세운 ‘호주 글로벌 자원 전략’을 수립했다”며 “호주는 이를 통해 핵심 광물 등의 신뢰할 수 있는 공급처로 호주의 풍부한 자원과 연방정부 지원책 등을 홍보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과 호주 간 공급망 협력 기조가 강화되고 있는 분위기도 기업들의 호주행에 한 몫하고 있다. 양국은 지난해 12월 ‘한-호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지난 2월부터는 ‘한-호 핵심 광물 작업반’을 운영하며 핵심 광물 공동 연구·개발(R&D), 호주 광산 공동 개발 등에 나서고 있다.

호주 레이븐소프사의 니켈광산 전경 (사진=포스코)
◇포스코·LG엔솔 등 지분투자 등으로 호주 내 공급망 강화

이에 따라 민간 기업 간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강화도 이뤄지고 있다. 포스코는 국내에서 가장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기업 중 하나다. 포스코는 지난해 5월 호주 니켈 광업·제련 전문회사인 레이븐소프 지분을 30% 인수한 데 이어 핸콕, 필바라미네랄스와도 리튬·니켈·구리 등 주요 금속의 대량 구매계약을 체결했다.

이 밖에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호주 니켈·코발트 제련 전문기업 QPM의 지분 7%를 인수해 니켈 7만t, 코발트 7000t을 공급받기로 한 데다 호주 배터리 원재료 생산 업체 ‘오스트레일리안마인즈’와 니켈 가공품 장기 구매계약도 맺었다. 현대자동차도 호주 희토류 기업인 아라푸라 리소시스와 희토류 산화물 구매와 관련한 MOU를 체결했다.

이 같은 움직임에 원자재 가격 상승과 수급 불확실성 확대로 국가 안보 차원에서 호주 자원개발과 원료 공급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업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전문가들은 현지 투자 환경과 규제, 정책 변화에 빠르고 민감한 대응이 필요한 만큼 합작·지분 투자 방식을 활용해 호주 파트너사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코트라 관계자는 “현재 호주 광산 기업과 활발한 사업을 벌이고 있는 포스코의 성공은 하루아침에 이뤄진 게 아니고, 1980년대부터 꾸준한 투자를 이어온 게 주요한 성공 요인”이라며 “광산 개발은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좋은 파트너와 더불어 인내심을 갖고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