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아파트 1128만 7048호 가운데 준공한 지 30년이 넘는 아파트는 93만 660호(8.2%), 20년 이상 30년 미만 아파트는 368만 3131호(32.6%)로 집계된다. 노후화가 시작된 20년 이상 아파트가 전체의 40.9%나 된 셈이다.
부식 속도로 우리나라 아파트의 수명을 추정한 한 연구에 따르면 아파트 평균수명은 48년, 내륙지역 아파트는 60년, 해안지역 아파트는 36년으로 나타났다. 재개발·재건축 계획 등 대외환경에 영향을 받는 기능적 수명이나 사회적 수명과는 다른 관점이다.
준공 아파트에 대한 관리는 주기별로 이뤄지고 있다. 5층 이상 15층 이하의 아파트나 연면적 660㎡를 초과하고 4층 이하인 연립주택, 연면적 660㎡ 초과인 기숙사는 공동주택으로 구분돼 안전점검 대상에 속한다.
안전점검 대상 건물은 안전등급에 따라 2~4년마다 정기적으로 정밀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A등급 건물은 반기에 한 번씩 정기 안전점검을 받고 B·C등급은 1년에 1회 이상, D·E등급은 1년에 3회이상 받아야 한다. 아파트 균열이나 전기 시설, 콘크리트 부식 속도 등 종합적으로 점검한다.
건설시설안전 통계연보에 따르면 2020년 12월 말 기준 공동주택 정밀안전점검 실시결과 부실률은 10.1%로 2016년 46.8%에 비해 36%p 감소했다.
◇건설사고 대부분 ‘안전관리 미흡’...현장적용률 높여야
최근 발생하는 중대 건설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대부분 취약공종의 안전관리 미흡에서 발생한다. 실제 국토교통부의 ‘건설공사 안전관리업무 매뉴얼’에 따르면 다양한 건설공종 중 가시설공(거푸집, 동바리), 지반굴착(터파기), 비탈면 굴착을 취약공종으로 선정하고 관리를 고도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선 관리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로다. △최저가낙찰제로 인한 저가수주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짧은 공사기간 △공사비 삭감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실적 공사비 △발주자의 불공정 공사비 삭감 △근로자의 안전의식 부족 △외국인 근로자 증가로 인한 의사소통 미흡 등이 현실적인 문제로 꼽힌다.
건설관리업계 관계자는 “건설기술이 급속도로 고도·복잡화되고 있지만, 안전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어서 다양한 방면을 통해 정책이 이행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시공사는 과감한 안전투자와 최고경영자가 직접 안전을 챙기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