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금특위는 전체회의를 거쳐 발족을 마친 뒤, 소위원회 구성 등 실무 절차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통과된 모수 조정안에 대해 2030세대의 반발이 확인되면서, 여당은 자동조정장치 도입을 포함한 구조개혁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미 여야가 합의한 조정안을 뒤집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신중한 접근을 예고해, 관련 논의를 둘러싼 긴장이 이어질 전망이다.
여론조사 기관인 한국갤럽이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국민연금개혁 합의안에 반대한다고 응답한 참여자는 41%로 찬성보다 3%포인트(p)가 높았다.
특히 18세~29세 연령층의 반대 비율은 58%, 30대는 64%에 달해 젊은 세대의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0대 이상에서는 과반에 가까운 응답자가 조정안에 찬성한다고 밝혀 연령대별 인식 차도 뚜렷하게 드러났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
이들은 “국민의힘은 본회의에서 국민연금법 개정안에 반대표를 던진 3명의 30대 청년 위원들을 특위 위원으로 구성해 구조개혁을 위한 의지를 보였다”며 “하지만,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 의원 중에는 구조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청년 의원들은 단 한 사람도 포함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한 “민간 외부 자문위원이라도 2030세대가 과반을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국민의힘 몫 특위 위원 중에는 본회의에서 모수 조정안에 반대표를 던졌던 김용태, 김재섭, 우재준 의원이 포함됐다. 반면, 야당에서 반대 뜻을 밝혔던 이소영, 장철기, 전용기 의원은 특위 명단에서 제외됐다. 비교섭단체 몫 역시 모수 조정안에 반대한 이주영, 천하람 의원 대신 찬성 입장을 보인 전종덕 의원이 선정됐다.
향후 과제로는 구조개혁에 대한 여야 간 합의 도출이 꼽힌다. 앞서 국회는 모수 조정안 합의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소득대체율 인상 요구를 일부 양보하고, 국민의힘이 자동조정장치 도입 시점을 유보하는 방식으로 절충점을 찾은 바 있다. 그러나 군복무·출산 크레딧 확대 등 야당이 요구한 사안들이 이미 반영된 상황에서 여당으로서는 추가 협상 카드가 부족하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