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금융당국이 발표한 ELS 관련 배상안에 대해서는 “은행의 개별 사안을 바탕으로 당국·은행과 소통할 것”이라며 즉답을 피했다. 또한 조 회장은 은행에서 ELS 등 고위험 금융상품의 판매를 지속하는 것이 적합하냐는 질문에 대해 “앞으로 은행 산업은 자산관리 측면에서 고객의 선택권을 더 넓히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 고도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조 회장은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은행권 금융 사고와 관련해선 “내부통제 이슈에 대해 경각심을 갖고 규범화시켜 이를 책무구조도에 녹여 현장에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은행권의 터지는 금융사고 금액이 갈수록 커지는데, 크로스체크를 상시화하고 내부통제의 중요성이 기업 문화로 승화할 수 있도록 은행들의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당정에서 은행권을 향해 상생금융과 같은 지나친 희생을 강요한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선 “은행이 수익성과 건전성, 공공성의 균형을 가지고 경제생태계의 디딤돌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자캐시백 이후 은행권 자율프로그램은 은행별로 안을 만들고 있으며, 이달 말에 발표해 4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선 서민금융진흥원에 출연하는 부분 등도 뜻을 모으고 있다“고 했다.
조 회장은 앞으로 은행의 사업영역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는 포부도 드러냈다. 조 회장은 “1분기 이후에는 그간 진행됐던 은행권 제도개선 기획단(TF) 등 혁신논의, 은행권의 비금융 진출과 금융그룹 자회사와의 시너지를 위한 제도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설명했다.
연합회는 더욱 적극적이고 기민하게 현안에 대응할 수 있도록 최근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혁신·상생·소비자그룹을 구성해 부문별 목표를 구체화했을 뿐만 아니라 전략그룹을 설치해 연합회 전체가 은행의 가치 제고라는 하나의 목표로 달릴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조 회장은 올해 은행산업 전망과 관련해 “금리의 향방은 불확실하고 부동산시장과 실물경제의 어려움이 지속하는 가운데 대환대출 플랫폼 등에 따른 영업 경쟁은 격화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은행은 민생경제의 보루로서 철저한 건전성·유동성 관리로 ‘은행은 안전하다’는 국민 신뢰에 부응하고 경제생태계의 선순환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조 회장은 금융권과 비금융 플랫폼 기업의 대환대출 플랫폼 수수료 불균형 사례도 언급했다. 조 회장은 “대환대출플랫폼 신용대출 서비스로 플랫폼 기업이 가져간 수수료가 24억원”이라며 “반면 은행이 받은 정보 이용 수수료는 9000만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은행이 제공한 대출금액 등은 필터링된 정제 정보”라며 “카카오, 네이버, 핀다 등 기존 기업에 대해서는 수수료 체계를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