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계에서는 전삼노 파업으로 삼성 파운드리의 피해가 특히 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파운드리 사업이 고객사들의 일정과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파운드리는 납기일에 맞춰 물량을 공급한다. 고객사들은 적기에 반도체를 납품 받아 각종 IT 제품을 만든다. 이런 이유 때문에 파운드리 기업에게 납기일 준수는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생산이 밀리면 납기일을 맞추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웨이퍼 공정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면서 품질이 떨어져 수율이 낮아질 가능성도 상당하다. 이는 원가 상승 요인이다. 향후 수주 활동에 제약이 생길 우려도 짙다. 고객사들이 삼성전자를 파업 리스크를 안고 있는 기업으로 인식할 수 있어서다.
이종환 상명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 교수는 “생산을 문제없이 잘할 것이란 신뢰를 주는 게 핵심”이라며 “생산 차질이 현실화하면 추후 수주도 어려울 수 있다”고 내다봤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삼성은 노조가 없던 기업이다 보니 이번에 반도체 생산에 다소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며 “실적과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문제는 경쟁사들은 반도체 산업 특성상 파업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무노조 경영을 고수하고 있다는 점이다. 반도체 시설은 365일 쉬지 않고 돌아야 하는 업종 특성이 있다. 파운드리 세계 1위 TSMC는 1987년 창사 이래 무노조 경영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2010년대 중반 대만에서 노조 목소리가 커지는 와중에도 당시 모리스 창 TSMC 회장이 “마이크로소프트(MS)나 구글의 성공 요인 중 하나는 노조가 없는 것”이라고 한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인텔 역시 무노조 상태로 경영하고 있다.
|
이규복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연구부원장은 “지금은 파운드리 업체들이 각자의 로드맵을 의식하면서 사업 계획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라며 “삼성 파업으로 인해 TSMC가 어부지리를 누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삼성 반도체가 받을 압박은 갈수록 더 가중될 수 있다.
일각에선 국가 안보가 달린 반도체 사업은 파업을 일부 제한하는 필수공익사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필수공익사업으로 지정할 경우 해당 사업장은 파업이 발생하더라도 일부 필수 인력은 업무에 투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