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증시 줄줄 녹아내리는데…트럼프 옹호 나선 참모들

김윤지 기자I 2025.04.07 15:15:51

재무·상무장관 등 주말 인터뷰서 '관세 옹호'
"번영 위한 장기적 경제 기반 구축, 연기 없다"
"50개국 협상 요청, 美소비자 큰 영향 없을것"
前재무장관 "4경원 피해 추산, 정책 바꿔야" 경고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글로벌 금융 시장이 대혼란에 빠졌지만 6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참모들은 관세 정책 옹호에 급급했다.

◇ 각료들 “방향성 유지, 유예 가능성 없어”

이날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NBC 방송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주가 폭락, 미국인들의 은퇴 자금 우려 등 각종 여파를 일축하면서 “트럼프 행정부는 번영을 위한 장기적 경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사진=AFP)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전 세계 증시는 폭락했다. 지난 3~4일 이틀간 뉴욕증시에서 대형주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0.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11.4% 하락했다. JP모건은 지난 4일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3%에서 -0.3%로 1.6%포인트나 낮췄다.

그럼에도 이날 베센트 장관은 “경기침체가 반드시 발생한다는 가정은 부정한다”면서 “하루나 일주일 안에 시장이 어떻게 반응할지는 아무도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인들이 이러한 경제적 불확실성과 난관을 얼마나 더 견뎌야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직접적인 답변 대신 “관세를 부과하고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것은 조정 과정”이라면서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이 인플레이션을 안정시켜 지미 카터 전 대통령 시기의 침체를 극복했을 때도 그 과정에서 약간의 요동이 있었지만 그는 방향성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사진=AFP)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역시 이날 CBS 방송과 인터뷰에서 오는 9일로 예정된 미국의 무역 상대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해 협상을 위해 상호관세 부과를 연기하거나 유예할 가능성이 없다고 못박았다. 그는 “상호관세는 부과될 것”이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농담을 한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가 흑자를 보고 미국은 적자를 보는 글로벌 무역 구조에 대한 재편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면서 “세계 각국은 미국을 약탈하는 일은 끝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을 되풀이했다.

◇ “보복과 동시에 협상 테이블 나와”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주요 무역 상대국들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을 요청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미국 소비자들이 가격 인상으로 고통받을 수 있다는 전망도 반박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여러 나라들이 분노하며 보복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동시에 협상 테이블에도 나오고 있다”면서 “어젯밤 미 무역대표부(USTR)로부터 50개국 이상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협상 개시를 요청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맥락에서 관세 정책이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는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이후 이어진 가격 하락을 언급하면서 저렴한 물가보다 일자리 손실이 더 큰 문제라고 주장했다. 해싯 위원장은 “값싼 상품이 미국인의 실질임금을 개선 시켜주는 것이었다면 그기간 동안 실질소득이 올랐어야 하지만 임금이 물가보다 더 많이 하락해 소득도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사진=AFP)
해싯 위원장의 주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경기 침체를 초래할 것이라는 경고와 차이가 있다. 저명한 경제학자인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이날 ABC 방송과 인터뷰에서 향후 물가 인상, 성장 둔화, 소비 위축, 일자리 감소 등을 예상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자초한 역사상 가장 큰 미국 경제에 대한 자해 행위”라고 표현했다. 그는 소비자 피해까지 포함하면 미국 경제에 약 30조 달러(약 4경4000조원)에 이르는 피해가 예상된다고 추산하면서 “이번 경제적 손실은 마치 국제유가가 두 배로 뛴 것과 같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관세 정책의 전면적인 전환”을 촉구하면서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진짜 심각한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