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코아 가격은 전년 동기만 해도 t당 2000~3000달러대를 형성했다. 지난해 11월부터 4000달러는 넘은 데 이어 올해 2월부터 5000달러를 찍고 4월엔 처음으로 1만 달러대까지 올랐다.
이 같은 코코아 가격 변동에 롯데웰푸드(280360)는 다음 달 1일부로 전 유통 채널에서 초콜릿류 제품 17종의 가격을 평균 12% 인상키로 했다.
원재료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코코아 가격이 2000~3000달러대로 돌아갈 수 있는 지가 초콜릿류 물가 안정화의 관건이다. 하지만 제과업계는 단시간에 코코아 가격이 과거 수준으로 되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제과업계 한 관계자는 “코코아 시세가 폭등한 건 이상 기후와 카카오(코코아 가공 전 원료) 병해로 생산량이 급감했기 때문”이라며 “이를 회복하기 위해선 병에 걸린 카카오 나무를 베고 다시 심어야 한다. 카카오는 새 나무를 심고 수확하기까지 최대 6년이 소요되는 걸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 세계 카카오 생산의 70%를 차지하는 서아프리카 지역은 낙후된 농업으로 생산 회복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 카카오 주산지인 가나, 코트디부아르 등 서아프리카 지역은 세계 최빈국으로 체계적인 방역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실제 감염된 카카오 나무를 자르고 전체 농장 주위에 바이러스 저항성 식물을 심어 작물을 보호해야 하는데 현지의 영세 농가들은 이에 전혀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단기적인 기상 이변이 아니라 수년에 걸쳐 복구가 필요한 카카오 병해에 따른 수확량 감소여서 다소 등락은 있더라도 코코아 시세가 과거 수준까지 바로 돌아가긴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때문에 롯데웰푸드 등 국내에서 판매되는 초콜릿 제품들 역시 한동안 높은 가격대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인건비 등 가공 비용도 오른 상황이라 카카오 원물을 이용해 제품을 만드는 국내 유일한 업체인 롯데웰푸드의 초콜릿류 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며 “장기적인 수급 불안정에 적극 대비하면서 제품 품질을 유지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적인 초콜릿 회사도 사안이 장기화할 것을 대비해 가격 인상과 조직 감축으로 대응 중이다. 허쉬의 지난해 4분기 초콜릿 제품 가격은 전년동기대비 6.5% 올랐다. 북미 지역의 과자 초콜릿 및 기타 캔디 제품 가격도 9% 상승한 것으로 전해졌다. 허쉬는 추가로 전체 인력의 5%를 감축하겠는 발표도 했다.
또한 초콜릿 코팅을 절반으로 줄인 ‘초콜릿 프로스티드 도넛 킷캣’을 출시하는 등 슈링크플레이션(가격은 유지하고 양을 줄이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네슬레도 지난 1월 영국에서 초콜릿 함량이 기존 제품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적은 신제품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