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슈 페이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기성세대와 젊은세대 간 세대 갈등이 심하다고 응답한 국민은 2013년 64.1%에서 2022년 59.6%로 소폭 하락했지만, 과반수는 여전히 세대갈등이 심하다고 인식했다. 이에 이번 이슈페이퍼는 세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4가지로 분석했다.
첫 번째는 ‘가족 가치관’의 차이다. 지난 결혼과 출산, 이혼 등을 개인 선택의 문제로 인식하는 비율이 전 세대에서 공통적으로 늘어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인식은 2013년 20대 50%·60대 이상 85%→2022년 20대 7%·60대 33.6% △‘이혼을 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은 2013년(20대 12.4%·60대 이상 47.5%)→2022년(20대 4.3%·60대 17.4%) △‘자녀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인식은 2013년(20대 23.2%·60대 이상 62.7%)→2022년(20대 4.5%·60대 29.3%)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정치적 이념성향’의 차이다. 지난 10년간 진보적 성향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소폭 증가했으며, 50대 이상 고령층은 ‘보수’, 이하 젊은층은 ‘진보’ 성향으로 꾸준한 평행선 구도를 나타냈다. 자신이 ‘보수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013년(20대 16.3%·60대 이상 54.9%)→2022년(20대 9.4%·60대 52.6%), 자신이 ‘진보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013년(20대 29.9%·60대 이상 8.5%)→2022년(20대 32.2%·60대 12.7%)로 집계됐다.
세 번째 요인은 ‘사회이동 가능성’이다. 본인이 노력한다면 본인 세대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지난 10년간 전 연령층에서 1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마지막 요인은 ‘세대 간 소통’ 영역인데, 세대 간 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응답은 나이의 고하를 막론하고 2013년 47.0%에서 2022년 63.2%로 전체적으로 증가했다.
김 위원장은 “위원회에서 그간 청년과 노년층에 관련한 문제를 두루 다루면서 세대의 다양함을 서로 배우고 성찰할 수 있는 포용적인 사회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느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