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수출산업은 작년부터 대중국 수출 부진을 겪으며 어려움 겪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월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33억31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 감소하며 새해에도 여전히 어렵다. 이에 조 장관은 수출 회복 등을 위해 대중 관계 개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조 장관은 후보자인 시절인 작년 12월 20일에 기자들과 만나 “한중 관계도 한미 동맹 못지않게 중요한 관계”라며 “조화롭게 양자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히며 한중 관계 개선의 목소리를 냈다.
외교부는 민간 차원에서 한중 관계 회복을 위한 후방지원 등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또 국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등의 해외 진출을 위해 현지 맞춤형 기업지원에 나설 전망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경제 5단체장을 만나기 위해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며 “한중 관계 개선과는 관계없다. 경제안보 융합외교 시대에 외교부가 경제부처라는 인식하에 기업의 해외진출을 적극지원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외교 전문가들은 경제안보를 챙기기 위해서는 한중 관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조 장관은 취임 직후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전화를 통해 한미일 협력과 북한 문제에 대해 협의했다. 블링컨과 인사한 지 열흘이 지났지만 조 장관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는 상견례 통화를 하지 않았다. 이것만 놓고 보더라도 현재 한국과 중국의 외교 관계가 소원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한국의 수출이 최근 회복됐지만 1월 들어 또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며 “수출 회복을 위해서는 중국과 관계가 핵심이기 때문에 외교부 장관도 열심히 움직이는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김준형 전 국립외교원장은 “통상(무역)전문가인 조 장관은 한미일을 챙기는 동시에 중국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안보 측면에서 중국과 협업은 어려운만큼 통상 차원에서 우회적으로 중국과 관계개선 행보를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대통령실의 기조가 친미 성향이 강한 만큼 외교부 차원의 중국 관계 개선이 한계에 봉착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김 원장은 “대통령실은 한미일 편중, 반중·반러 외교를 지향하고 있다”며 “외교부 장관으로서 소신을 가지고 일한다고 하더라도 대통령실과 마찰을 우려해 중국 관계개선이 힘들 것으로 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