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회의는 민주주의 진영이 직면한 위기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2021년 12월 미국 주도로 1차 회의가 열렸다. 2차 회의는 한국과 미국, 코스타리카, 네덜란드, 잠비아 공동 주최로 열린다. 정상급 인사들이 참여하는 본회의는 29일 화상으로 진행되며, 110여개국 정상과 유엔 등 국제기구 수장이 초청됐다.
본회의는 윤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5개 공동 주최국 정상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막을 올린다. 회의는 이들 5개국 정상이 주재하는 5개 세션으로 구성된다. 한국은 이튿날 인도·태평양 지역을 대표해 ‘부패 대응에 있어서의 도전과 성과’를 주제로 지역회의도 주최한다. 4개 세션으로 진행되는 장관급 지역회의에는 시민사회와 학계 등도 참석한다.
김 실장은 윤 대통령이 맡은 본회의 세션과 관련, “국제 무대에서 규범과 가치에 대한 실천 의지를 보이면서 국제적 리더십과 국격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국제사회 도움으로 전쟁과 가난을 극복하고 민주화된 선진 강국으로 성장한 한국이 그동안의 노하우를 공유하면서 국제사회에 기여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이 민주주의 증진에 기여하는 국제사회 리더십을 발휘하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한국이 주최하는) 지역회의에 대다수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참여하는 만큼 한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대만의 회의 참여에 대한 중국의 반발에 대해 “참가국 선정은 주최국인 미국이 여러 요소를 검토하고 공동 주최국과 협의를 통해 확정 짓는 과정을 거쳐왔다”면서 “특정 국가를 배제한다거나 그런 이분법적 틀은 고려하지 않았다. 진영 대결의 문제는 더더욱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윤 대통령 아울러 취임 후 처음 맞는 ‘서해수호의 날’에 맞춰 천안함 논란을 종식하고 전사자들에 대한 예우를 갖출 것으로 보인다. 대선 당시부터 윤 대통령은 생존 장병, 유가족과 만나며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 말해왔지만, 대통령으로서 공식 메시지를 내는 건 처음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임기 동안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는 두 차례 참석했으나 천안함 폭침이 북한 소행이라고 말한 바 없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7회 서해수호의 날 기념식에는 당선인 신분으로, 문재인 정부로부터 초청을 받지 못해 참석하지 못했다. 다만 순국 장병 묘역에 조화를 보내며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평화는 이들의 고귀한 큰 빚을 지고 있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