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체에 따르면 한국 사회에서 매년 2400명의 노동자가 일터에서 얻은 질병 혹은 사고로 목숨을 잃는다. 하루 7명 꼴이다.
이들은 사업장에서 일어난 사고는 사업주에게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미숙 김용균재단 이사장은 “아들 용균이는 원·하청이 안전을 책임지지 않는 구조적 살인을 당했다. 그런데 경찰 조사에서는 원청과 하청업체 대표들에게 혐의가 없다고 하고 하청의 말단 직원들만 처벌해달라며 검찰에 넘어갔다”며 “죽을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든 책임은 기업이 져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
최씨는 “당시 춘천시장의 방해로 진상조사위원회가 해체돼 유가족들이 직접 산을 수없이 올라다니며 산사태 원인을 파악했다”며 “산사태가 일어나기 전 세 차례나 산림청에서 위험 경고 문자를 공무원에게 보낸 것을 확인했지만 이들은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씨는 “1999년도에도 똑같이 산사태가 일어난 자리에 지자체는 민박집 허가를 해 줬다”며 “산사태 원인은 국토교통부에도, 강원도에도 있었지만 저희는 어떤 책임도 묻지 못했다. 공무원들이 안전 의무를 다하지 못할 때 책임을 지게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21대 총선에서 ‘수퍼 여당’으로 거듭난 더불어민주당에도 법안 통과를 촉구했다. 이상진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산재 사망을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국민과의 약속이 여전히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민주당이 확보한 180석은 국민들이 예쁘다고 준 게 아니라 약속을 지킬 마지막 기회를 준 것이니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가장 우선 처리해달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