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통신이 26일(현지시간) 부동산 컨설팅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국 동부 지역 물류 창고의 공실률은 평균 19.2%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 공실률인 16.5%와 비교하면 2.7%포인트 높은 수치로, 최근 수년래 최고 수준이다. 헝다 사태,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소비가 둔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중국 가계는 자산 대부분을 부동산에 의존하고 있다.
지정학적 갈등도 공실률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다. 실제 부동산 컨설팅업체 콜리어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베이징 전체 산업단지의 공실률은 20.5%로 집계됐다. 다국적 기업들이 대거 철수한 탓이다. 이 때문에 현지 기업들도 줄줄이 떠나고 있다.
빈 창고가 늘어나면서 임대료는 하락하고 있다. 쿠시먼이 추적한 중국 내 20개 주요 도시 가운데 13개 도시에서 올해 1분기 임대료가 전분기대비 하락했다. 베이징이 4.2%, 선전이 3.9% 각각 낮아졌다.
공실률이 높아졌음에도 신규 창고는 되레 늘고 있다. 이미 건설을 시작해 2026년 말까지 공급이 완료되는 창고만 3300만㎡에 달한다. 축구장 약 4600개 규모다. 향후 임대료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블룸버그는 “베이징, 상하이 등 주요 도시에선 상업용 오피스 침체와 함께 물류 산업 부문이 약화하고 있다. 이자율, 차입금, 건설비용이 낮을 때 상업용 부동산에 막대한 자금이 몰리면서 과잉 건설을 추진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창고를 매각하려는 임차인도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엔 온라인 쇼핑이 일상화하며 빈 창고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중국의 물류 산업은 가장 안전한 시장으로 여겨지며 관련 부동산 투자는 해외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끌어모았다. MSCI 리얼 캐피털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글로벌 기관들은 지난 10년 동안 물류 창고, 산업용 건물, 오피스 타워 및 기타 중국 상업용 부동산에 1000억달러(약 139조 1000억원) 이상을 투자했다. 블랙스톤, 부동산투자회사 PGIM, 싱가포르투자청(GIC) 등이 대표 투자자로 꼽힌다.
하지만 이들 기관은 임대료가 더 떨어지기 전에 자산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손해도 감수하겠다는 입장이다. 중국 소매판매에서 온라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30%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높은 공실률은 중국 소비자들이 지갑을 좀처럼 열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2015년 50%에 육박했던 전자상거래 성장률도 10% 내외로 둔화한 상태다.
블룸버그는 “대다수 창고가 온라인 쇼핑의 장기 호황을 예상하고 전자상거래 주문 처리 센터, 냉장·냉동 농산물 저장을 위한 대형 냉장고, 기업의 부품 및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지어졌지만, 투자자가 기대했던 만큼 활용되지 않고 있다”며 “(오히려) 임대료를 내리고 임대 기간도 단축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 낮아진 임대료에도 일부 세입자는 임대료를 체납하고 있다”고 전했다.
글로벌 부동산 운영 및 투자사인 ESR그룹은 지난해 중화권 투자 수익이 전년대비 20%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의 루크 리 이사는 이달 중순 열린 물류 관련 온라인 컨퍼런스에서 “현재 (중국 내 ) 임차인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선에서 승리하면 대중 견제 및 규제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미 100% 관세 부과를 예고한 상태다. 중국에서 사업을 중단 또는 축소하는 기업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블룸버그는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은 대중 의존도를 줄이려는 최종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생산기지를 해외로 이전하고 있다”며 “미중 무역이 둔화하면 중국 본토에 물류 창고를 확보할 필요성이 줄어든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