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화웨이發 미중 기술전쟁 격화…SK하이닉스·애플에 '불똥'

방성훈 기자I 2023.09.07 17:34:08

화웨이 최신폰 '메이트60 프로'서 美기술 사용 확인
SMIC 생산한 반도체 탑재…美제재 뚫려 논란 확산
美 "자국 기술없이 불가, 조사해야…추가 제재도 필요"
中, 美보란듯 화웨이 밀어주기…공무원 아이폰 금지령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다툼이 이번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격화하고 있다. 미국의 대중 기술 제재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화웨이가 미국의 제재에도 첨단 반도체 칩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내놓으면서다.

중국은 해외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5G 스마트폰을 출시한 것에 자신감을 표출하며 보란 듯 정부기관 내 아이폰 사용을 금지했다. 미국은 자국 기술 없이는 화웨이가 5G 스마트폰을 제작할 수 없다며 관련 조사 및 추가 제재에 나설 채비를 갖추고 있다.

7일 중국 베이징의 한 쇼핑몰에서 사람들이 메이트 60 시리즈 스마트폰 광고가 걸린 화웨이 매장을 방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美, 화웨이 최신폰에 ‘화들짝’…SMIC 조사 나설듯

7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정부와 의회는 화웨이의 최신 스마트폰 ‘메이트60 프로’와 관련해 중국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체인 중신궈지(SMIC)가 허가 없이 화웨이에 7나노미터(1㎚=10억분의 1m) 반도체를 공급한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반도체 전문 조사기관 테크인사이츠의 분석 결과 메이트60 프로의 모바일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로 ‘기린 9000’이 탑재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기린 9000은 화웨이의 반도체 설계 전문 자회사인 하이실리콘이 만든 칩으로, SMIC가 생산을 맡고 있다. SMIC의 공정 전반에 미국 설비가 사용되기 때문에 미 정부 승인 없이는 화웨이에 반도체를 공급할 수 없다.

마이클 매콜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은 이날 “SMIC는 미국의 제재를 위반한 것이 확실하다.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이크 갤러거 미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원장도 기린 9000에 대해 “미국 기술 없이는 생산될 수 없다. SMIC가 상무부의 규칙을 위반했을 수 있다”고 거들었다. 당사자인 화웨이는 입을 굳게 닫고 있어 의혹은 더욱 커지고 있다.

아울러 메이트60 프로의 출시는 현행 제재로는 화웨이를 규제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이에 미 정치권을 중심으로 더욱 강력한 추가 제재 필요하다는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갤러거 의원은 “화웨이와 SMIC에 대한 모든 미국 기술 수출을 중단할 때가 왔다”며 추가 제재를 촉구했다.

이런 상황에서 메이트60 프로에 SK하이닉스의 반도체도 쓰였다는 소식까지 전해졌다. 블룸버그가 반도체 컨설팅업체 테크인사이트에 의뢰해 메이트 60 프로를 해체한 결과, SK하이닉스의 스마트폰용 D램인 LPDDR5와 낸드플래시가 포함된 것이 확인됐다. SMIC와 함께 SK하이닉스도 미 정부의 조사 대상에 오를 가능성이 거론된다.

SK하이닉스는 메이트60 프로에 자사 메모리 칩이 쓰였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미 상무부에 신고한 뒤 경위를 파악 중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미국의 제재 이후 화웨이와 거래한 사실이 없다”며 “SK하이닉스는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 조치를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中, 공무원에 “아이폰 쓰지마”…5G폰 자체 생산 ‘자신감’

미국과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선 논란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지만 중국은 아랑곳 않고 있다. 오히려 화웨이가 자체적으로 최첨단 스마트폰을 생산해낸 것을 과시하는 모양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최근 정부기관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아이폰 등 외국산 브랜드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하는 지침을 내렸으며, 국영기업 등으로 적용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가안보 정책에 따라 해외 기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 미국의 틱톡 사용금지에 따른 대응 등의 분석이 나오지만, 사실상 아이폰을 쓰지 말라는 것과 다름없어 ‘화웨이 밀어주기’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애플이 미국의 화웨이 제재에 따른 최대 수혜자인 데다, 시기적으로도 메이트60 프로 출시와 맞물리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중국의 600달러 이상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과 화웨이는 미국의 제재가 본격화하기 전인 2020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비슷한 점유율을 기록했지만, 올해 2분기엔 애플이 65%, 화웨이가 18%로 격차가 대폭 확대했다. 아울러 프리미엄 스마트폰 매출은 지난해 전체 스마트폰 매출의 55%를 차지했다.

조지 W 부시, 버락 오바마 전 정부 시절 미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중국 담당 국장을 역임한 폴 헨레는 “국가안보 우려뿐 아니라 경제에 대한 우려도 (중국 정부에) 동기를 부여한 것 같다”고 평가했다.

6일(현지시간) 미 뉴욕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일대비 3.58% 급락했다. 시가총액도 2조8600달러로 줄어 3조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중국은 애플의 최대 시장 중 한 곳으로, 애플 전체 매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9%에 달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