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에 따르면 30대 미혼 인구 가운데 부모와 동거하는 비율은 54.8%나 됐다. 결혼 연령이 늦춰지고 주거 고용 불안이 이어지면서 독립을 늦추는 30대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통계개발원은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바탕으로 20~44세 미혼 인구 세대 유형을 조사해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령집단별로 보면 30∼34세 중 부모와 동거하는 사람이 57.4%, 35∼39세는 50.3%로 집계됐다. 40∼44세의 경우 미혼 인구의 44.1%가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20∼44세) 미혼 인구 전체에서 부모와 함께 사는 사람 비율은 62.3%였다. 부모와 함께 사는 미혼 인구의 경우 42.1%가 비취업 상태로 집계됐다. 취업자 비율은 57.9%로 나타났다.
반면 독립한 청년 1인 가구는 취업자 비율이 74.6%로 부모와의 동거에 취업 등 경제적 자립 여부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계발원은 “청년층 고용 불황이 지속되고 주택 비용이 상승하는 가운데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 세대에게서 경제적·정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는 ‘캥거루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결혼에 대한 인식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부정적이었다.
지난 2018년 조사 기준 30∼44세 미혼 여성 가운데 61.6%는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했다. 같은 응답을 한 남성은 45.9%로 여성보다 15.7%포인트나 낮았다.
‘결혼을 하지 않는 게 낫다’고 응답한 여성 비율도 15.5%로 남성(6.4%)보다 높았다. 여성의 경우 전문직이거나 고학력일수록 미혼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계발원은 “최근 결혼의 진입장벽이 높아지면서 청년층 비혼인구가 늘어나는 추세다. 남성은 경제적 요인, 여성은 일·가정 양립을 각각 부담으로 꼽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