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10~20%의 보편적 관세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아직 준비는 되지 않았지만, 여전히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연합(EU)과의 무역전쟁 가능성도 시사하며 “EU는 미국산 자동차나 농산물을 거의 수입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미국은 3000억 달러의 무역 적자를 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EU가 미국산 석유를 구매하지 않는다면, 관세를 통해 이를 바로잡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1일까지 상무부, 재무부, 무역대표부(USTR)에 무역적자 원인 조사 및 해결책 방안을 마련하도록 지시했는데, 구체적인 조치는 순차적으로 발표될 전망이다. 반면 중국에 대한 구체적인 관세 계획은 이날 발표하지 않았다. 대신 중국이 자신의 첫 임기 동안 체결한 협정을 준수했는지 조사할 것을 지시했다. 그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협상의 가능성을 내비쳤다. 북한에 대해서는 ‘핵보유국’(nuclear power)이라고 직접 언급해 미국의 대북정책 초점이 비핵화에서 핵군축·위험관리로 이동한 것이란 분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날 취임사에서 국경비상사태와 에너지비상사태를 선포한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 이민자 추방, 파리기후협정 및 세계보건기구(WHO) 재탈퇴,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기, 화석연료 생산 확대, 1·6사태 폭동자 사면 등 다수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총 서명 건수는 약 100건에 달하며, 사실상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정책 기조를 대부분 뒤집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그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 총 78개를 철회하는 조치를 첫 행정명령으로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및 미 우선주의 선언으로 금융시장은 불확실성이 커졌다. 이날 즉각적인 관세 시행 계획은 빠졌다는 분석에 약세를 보였던 달러는 백악관에서의 발언 직후 다시 낙폭을 줄이는 등 변동성이 심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반영한 달러지수는 108.75까지 상승했으며, 캐나다 달러와 멕시코 페소환율은 달러 대비 1% 이상 치솟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