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각주간사 선정 앞두고 매각사 부담 줄이기 위한 자구 노력 중
31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차는 이르면 이주 매각주간사를 정하고 인수 의향을 밝힌 업체 4∼5곳을 추린 뒤 실사 진행 후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조사위원을 맡은 한영회계법인이 내달 10일 조사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었지만 30일로 조사 기간이 연장돼 예상보다 일정이 조금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조사 기간이 늘어난 이유는 채권 신고가 늦어졌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해 말 기준 3700억원 규모인 공익 채권이 6900억원까지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쌍용차는 “직원들의 퇴직충당금을 포함했기 때문”이라며 “바로 변제해야 하는 것이 아닌 만큼, 지난 4월과 비슷한 규모”라고 밝혔다.
기존에 알려진 인수 희망자는 에디슨모터스와 케이팝모터스, 아직 인수를 포기하지 않은 HAAH오토모티브 등이 있다. 미국과 중국계 기업들이 인수 의향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회생절차에 돌입한 이후 쌍용차 노사는 정부와 산업은행, 경기도와 평택시 등에 경영 정상화를 위한 의지를 보여왔다. 향후 매각사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자구 노력에도 힘써왔다.
쌍용차는 조직 슬림화에 나섰고 상근 임원 수도 26명 수준에서 16명으로 38% 감축했다.
다행히 지난 4월 초 출시된 더 뉴 렉스턴 스포츠&칸이 누적 계약 5000대를 돌파하는 등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쌍용차는 국내 최초 준중형 SUV인 E100(코란도 e-모션)을 하반기에 출시할 예정인데 이를 통해 미래 가치를 입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내연기관차에서 전동화로 변화하는 시장 흐름을 따라갈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준다는 것이다.
이외 환경부가 부과한 수백억원대 온실가스 과징금을 줄이기 위해 쎄보모빌리티와 MOU를 맺었다. 과징금을 피하려면 친환경차 판매를 늘려야 하기 때문에 초소형 전기차 ‘쎄보-C SE’를 쌍용차 일부 대리점에서 판매하기로 했다.
◇지자체 주도의 ‘평택형 일자리’ 방안 거론…선제 조건은 구조조정
하지만 이같은 자구노력에도 쌍용차에 대한 전망은 아직 안갯속이다.
기존 제기됐던 ‘상생형 일자리’ 형태의 방안이 거론된다. 상생형 일자리는 노·사 대타협으로 임금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정부와 지자체가 주거·문화·복지·보육시설 등 지원으로 메우는 형태다.
하지만 쌍용차 경우 상생형 일자리에 적합하지 않다. 평택공장이 수도권이라는 점과 타 업체들과의 형평성 문제 등으로 정부 주도의 사업 진행은 어려운 상황이다.
현 시점에서 고려할 수 있는 건 경기도와 평택시가 주도하는 새로운 ‘평택형 일자리’ 모델이다. 이 경우에도 인력 구조조정이 선제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론 등을 고려해 구조조정이라는 자구안이 선제돼야 지자체가 나설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쌍용차 노조는 여전히 구조조정에 대해선 강경하게 반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존 상생형 일자리 경우 가급적이면 수도권 외 지역이 대상이었고 신사업 위주로 해야 하는 취지기 때문에 진행되지 못했다”며 “기존 프로그램으로 풀기 어려운 상황에서 경기도와 평택시가 논의를 통해 새로운 모델을 만드는 방안을 고려해야 하는데 노조가 구조조정에 반대해 장애물이 됐다”고 설명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평택형 일자리 방안은 결국 세금 투입을 염두에 둔 것이고 지자체가 연관되면 세금을 내는 시민들의 반대 여론에 부딪힐 수 있다”며 “일단 노조가 다른 완성차 업체처럼 동일 노동을 하니 그만큼 받아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평택형 일자리나 구조조정을 통한 경영정상화 등 표현은 달라도 쌍용차가 뼈를 깎는 노력을 우선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