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외교가에 따르면 외교부는 내주 서울에서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 왕이 부장이 회담하는 방안을 중국 측과 최종 조율 중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그간 한중은 고위급 소통 필요에 공감하고 교류를 지속할 여러 방식을 긴밀히 협의해왔다”며 “구체 계획이 나오면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르면 내일 방한 일정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한중 외교장관 회담은 지난 4월 정 장관의 중국 푸젠성 샤먼 방문 이후 5개월 만이며, 왕 부장의 방한은 지난해 11월 이후 약 9개월 만이다.
이번 회담에서는 양자관계 강화는 물론, 한반도 문제와 국제 정세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내년 2월 개막 예정인 2022년 베이징 올림픽에 대해 한국 측의 지지와 문재인 대통령의 개막식 참석 등을 논의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왕 부장은 청와대를 방문, 문 대통령의 예방 역시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도 논의될 수 있다. 문 대통령이 2017년 방중했지만, 답방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상황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히지만, 시 주석의 답방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문 대통령 참석을 요청할 경우, 상호주의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때는 시 주석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때는 한정 부총리(정치국 상무위원)이 중국 대표로 참석했다. 올해 열린 ‘2020 도쿄 하계 올림픽’ 개회식에는 얼어붙은 중일 관계를 반영하듯 차관급인 체육청장을 보냈다.
특히 미중 갈등이 확산되면서 최근 미국과 그 동맹국인 유럽연합(EU), 영국 등에서는 베이징 올림픽 보이콧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EU 의회는 7월 8일 “중국이 홍콩, 티베트, 신장위구르의 인권 상황을 개선하지 않으면 회원국에 정부 대표단의 참석을 거부하라고 촉구하겠다”는 결의안을 의결했다. 일주일 후 영국 하원 또한 비슷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미국 역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비롯해 외교적 보이콧을 언급한 바 있다. 미 의회는 7월 말 코카콜라, 비자, 에어비앤비 등 올림픽 공식후원사인 미국 기업을 소집해 청문회를 열었다. 미국 기업이 중국의 공산당의 선전체계를 돕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참여가 예상되는 베이징 올림픽을 계기로 북한과의 대화 물꼬를 트고 싶어한다. 문재인 정부의 임기가 채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베이징 올림픽은 한반도평화프로세스의 반전을 꾀할 마지막 기회이기도 하다.
이번 왕 부장 방한에서 한중은 북한의 최근 상황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북한을 대화테이블로 이끌어낼 방안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르면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는 코로나19를 이유로 국경을 봉쇄한 북한의 인도적 상황과 관련해 대북제재 완화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다만 미국이 이에 강력한 반대를 하면서 논의는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은 이에 대해 “논의 상황에 대해서는 확인해드릴 게 없다”면서도 “북한 주민의 인도적 어려움을 해소하고 민생을 개선하기 위해 제대 문제에 대해 보다 유연한 입장에서 포괄적 인도적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