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택 미군기지(캠프 험프리스)에서 복무하던 트래비스 킹은 지난 18일 JSA를 견학하던 도중 무단으로 월북했다. 바이든 행정부에서 미국인이 무단으로 국경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당초 그는 폭행 혐의 등으로 40여일간 구금됐다가 추가 징계를 위해 미국으로 보내질 예정이었어서 도피성 월북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트래비스 킹이 월북한 지 일주일 가량이 지난 가운데 북한은 아직까지 그의 상황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유엔군사령부 부사령관인 앤드류 해리슨 중장은 1950~1953년 한국전쟁에서의 정전협정을 언급하며 “가장 최우선 관심사는 킹 이병의 복지(welfare)”라며 “정전협정의 메커니즘을 통해 조선인민군과 대화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현재로서는 협의 성과나 트래비스 킹의 안위 등은 밝혀진 것은 없다. 이와 관련해 해리슨 중장은 “우리 중 누구도 이것이 어디로 끝날지 모르기 때문에 낙관적”이라면서도 “지금은 여기까지만 말하겠다”고 선을 그었다.
블룸버그는 북한 보안 당국이 트래비스 킹을 붙잡아둘 가치가 있는지, 아니면 정보가 거의 없어 국가에 부담이 되기 전에 돌려보낼 수 있는 인물인지 판단하기 위해 집중 심문을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에 대해 블룸버그는 트래비스 킹이 2021년 1월부터 육군 기병대 정찰병으로 근무하 사실을 언급하며 북한이 관심을 가질만한 민감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북한은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트래비스 킹을 언급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미국과의 대화 물꼬를 틀 수 있을지 득실을 따져볼 것으로도 예상된다.
트래비스 킹이 평양으로 이송됐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트래비스 킹이 공동 조사팀 심문을 위해 평양으로 이동됐을 수 있다”며 “북한 당국이 정치적 판단을 하고 있고 팬데믹 이후 외부와 대면 협상을 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내부 입장을 정리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블룸버그는 이번 스스로 국경을 넘어간 트래비스 킹의 사례는 한국 전쟁 후 북한에 무단 입국했다는 이유로 억류된 약 20명의 다른 미국인들과는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전 억류자들은 주로 인도주의적 이유로 북한을 방문했던 기독교인이나 여행 중이던 대학생, 기자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