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 대행은 7일 서울 종로구 중앙청년지원센터에서 열린 청년 오찬간담회에서 “청년은 대한민국의 오늘을 살아가며 동시에 내일을 만드는 주역”이라며 “청년의 도전이야말로 우리 사회를 밀고 나가는 동력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자리, 저출생, 나라빚, 연금재정 등 모든 정책에서 청년을 포함한 미래세대의 목소리가 적극 반영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최 대행은 특히 최근 청년 고용시장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했다. 그는 “쉬고 있는 청년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개인적으로 국가적으로 아주 큰 손실이라고 생각한다”며 “정부는 청년이 멈추지 않고 나아갈 수 있도록 원활한 노동시장 진입도 지원하고 그다음에 창업 생태계도 강화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맞춤형 고용 서비스 △직무 연계 일 경험 확대 △청년창업펀드 확대 등 정부 정책을 소개했다.
이날 간담회에 배석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도 “청년이 아무리 노력해도 일할 기회를 얻지 못하면 나라의 발전이 불가능한 만큼, 국가의 최우선 책무는 청년들에게 기회를 열어주는 것”이라며 일 경험 확대를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이날 간담회엔 대학생과 취업 준비생, 기업인 등 청년 13명이 참석했다. 청년들은 정부에 △재학중 일 경험 활성화 △청년 도전 지원사업 확대 △취업 후 지속적인 역량 개발 지원 △지역 창업 청년 지원 △청년 창업기업의 연구·개발(R&D), 해외 진출 지원 등을 건의했다.